<2부>4·3국가추념일, 새로운 시작 <4>4·3전국화, 세계화

▲ 지난 3일 제66주년 4·3국가추념식이 제주4·3공원에서 안전행정부 주최로 열린 가운데 유족과 도민 등 참석자들이 헌화·분향하고 있다. 사진=자료사진
제주도민·유족 역량 결집…정부 의지 중요
추가진상조사 등 4·3 현안부터 우선 해결 
올바른 역사관 정립 어린 세대부터 교육 
 
4·3의 역사가 66년만에 4·3국가추념일 지정이라는 또 다른 전환점을 맞았다.
 
이 때문에 화해와 상생의 정신을 토대로 한 4·3의 전국화, 세계화가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4·3의 전국화, 세계화를 위해서는 '4·3의 완전한 해결'에 대한 도민들의 역량 결집과 정부의 의지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그동안 4·3은 제주사회의 노력 끝에 2000년 4·3특별법 제정, 2003년 4·3진상조사보고서 확정과 노무현 대통령의 공식사과 등의 성과를 이끌어 냈고, 66년만인 올해 4·3이 국가추념일로 지정되면서 4·3완전 해결의 디딤돌을 마련했다.
 
4·3 국가추념일 지정을 통해 4·3의 역사를 제주의 역사에 머물지 않고 한국 현대사의 비극으로서 역사의 교훈으로 삼는 한편 화해와 상생의 4·3 정신을 국민대통합의 계기로 삼을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까지 해결되지 않은 4·3 추가진상조사와 4·3 희생자 및 유족에 대한 지원 확대, 4·3완전 해결의 중심인 4·3평화재단 기능 정상화를 위한 국가 지원 확대 등이 우선적으로 이뤄져야 하다는 지적이다.
 
또한 4·3특별법 제정부터 4·3국가추념일 지정까지 4·3진실규명활동과 맞물려 끊이지 않은 보수우익세력의 4·3 흔들기도 이제는 중단돼야 한다. 이제 보수세력들도 오랜 기간 국민적 합의를 통해 정리된 4·3의 공식적인 정의를 수용해 잘못된 역사 왜곡을 바로잡고, 국민적 화해와 상생이라는 4·3의 정신을 계승시켜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4·3의 전국화, 세계화를 위해서는 우선 제주도민들부터 4·3에 대한 올바른 역사관을 정립, 전국으로 확대해 어린 세대들부터 4·3의 역사를 올바르게 인식시켜 국민 공감대를 형성해야 한다.
 
이어 4·3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4·3의 역사를 세계의 다양한 언어로 번역해 적극적으로 알리는 한편 세계적인 평화·인권 운동 등과 비교해 4·3의 화해와 상생 정신을 알려야 한다는 지적이다.
 
또한 4·3을 다룬 영화 '지슬'처럼 사람들의 인시에 큰 영향을 미치는 문화·예술 분야를 통한 4·3 알리기도 필요한 상황이다.
 
4·3의 전국화, 세계화는 제주도민과 유족들이 중심 역할을 수행해야 하지만, 더 나아가 전 국민의 공감대가 바탕이 돼야 실현 가능한 과제다.
 
따라서 정부는 현재 추진되고 있는 추가진상조사 등 4·3완전 해결을 위한 과제들을 우선적으로 해결하고, 4·3의 전국화, 세계화를 위한 방안 마련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김영헌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