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귤부문이 도내 1차산업 총생산소득의 50%나 차지하는 구조를 지니면서도 생산농가의 영세성과 날로 늘어가는 생산면적, 소득의 불안정은 제주농업에 암울한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

특히 해마다 제시되는 감귤적정생산 계획은 더 이상 농가에 신뢰를 얻지 못하면서 행정불신까지 자초, 위기의식은 그 수위를 더해가고 있다.

제주도가 밝힌 지난해 감귤재배면적과 생산량은 2만5796㏊에 56만3300여톤. 지난 80년 1만4094㏊·18만7000톤에 비해 각각 2·3배 증가했다.

농가수 역시 80년 1만9996 농가에서 3만6073 농가로 늘어나는 등 감귤에 대한 수익 기대심리가 해를 거듭할수록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지난해 56만3300톤의 생산으로 고소득과 연결되리라는 기대심리와는 달리 63만9000톤이 생산됐던 98년 조수입의 60%선(3700억원)에 그침으로써 ‘소량생산은 곧 고소득’이라는 상관관계가 순식간에 무너졌다.

이는 1㏊ 재배미만이 74.5%나 차지하는 경영규모의 영세성과 온주밀감이 95%나 차지하는 단순 재배형태, 고품질 재배기술 도입을 외면하는 생산 마인드의 부족 등이 작용한 결과다.

또 감귤 대체 작물이 마땅치 않은데다 그나마 대체작물로 제시된 채소·화훼류·단감·녹차 등이 “아직까지 감귤만한 농사가 없다”는 인식 등으로 실제 재배로 연결되는 고리가 미흡한데 기인한다.

제주도가 지난해 재배면적 감축과 품종 다변화, 가공산업 육성을 골자로 제시한 감귤산업 발전계획도 실천 가능성 측면에서 신뢰를 주지 못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속에 세계 감귤생산 3위국 중국의 WTO 가입에 따른 대비책도 거의 없어 위기감은 날로 팽배해지고 있다.

단기간내 수입의 가능성은 적지만 외국의 선진과학기술 도입 및 품종갱신으로 무장한 중국 감귤이 중·장기적으로 수입될 경우 제주감귤에 미치는 파장은 상상을 뛰어넘을 것이라는 관측이 크기 때문이다.

사과가 배보다 비싸진 가장 결정적인 이유가 재배면적 감축을 통한 생산량 감산이라는 점은 제주감귤산업 위기 해결에 한 단서가 된다.

감귤이 처한 위기를 극복하고 경쟁력 있는 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는 구체적 대안 제시와 함께 폐원, 휴식년제 도입, 간벌 등의 종합시책이 능동적으로 실행되는 길만이 제주감귤의 생존전략이라는 인식 수용이 시급하다.

하우스감귤에서부터 극조생·조생·월동감귤·만감류 등으로 이어지는 품종다변화를 통한 출하시기 조절 등도 중요한 선결 과제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