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노년층의 우울증이 증가하고 있어 가을철을 맞아 적극적인 활용이 필요해 보인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최근 5년간(2009~2013년)의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 결정 자료를 이용해 '우울증'에 대해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2009년 약 55만6000명에서 2013년 약 66만5000명으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4.6%로 나타났다.
 
총진료비는 2009년 약 2135억원에서 2013년 약 2714억원으로 5년간 약 27.1% 증가(연평균 증가율 6.2%)했는데 이는 환자 증가율 19.6%에 비해 크게 높은 수치다.
 
진료인원을 성별로 비교해 보면 여성 진료인원이 남성 진료인원에 비해 매년 약 2.2배 정도 더 많았던 반면, 연평균 증가율은 남성 진료인원이 5.4%, 여성 진료인원이 4.2%로 남성 진료인원이 약 1.2%p 더 높았다.
 
연령별(10세 구간) 점유율은 2013년을 기준 70대 이상 구간이 22.2%로 가장 높았고, 50대 21.0%, 60대 17.4%의 순으로 50대 이상 장?노년층에서 60.7%를 차지했다. 20세 미만과 20대 구간의 점유율은 각각 4.6%, 7.7%로 낮게 나타났다.
 
2009년과 비교했을 때 연령별 진료인원이 가장 많이 증가한 구간은 70대(5만3552명)와 50대(3만5013명)로 인구 고령화로 인한 만성질환의 증가와 사회적 이슈로 부각된 베이비부머 세대인 50대의 진입 영향으로 보인다.
 
40대 이상 여성 진료인원은 전체 진료인원의 절반 이상인 53.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폐경, 성장한 자녀들의 독립 등으로 인해 느끼는 심리적 허무감·우울감 등이 원인인 것으로 추측된다. 
 
우울증은 여러 원인들에 의해 우울감 및 의욕 저하 등이 나타나는 정신적 질환으로 수면 장애나 불안, 성욕 및 집중력 저하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심한 우울증은 극단적으로 자살로 이어지기도 하는데 통계청의 '2013년 사망원인 통계'에 따르면 2013년 우리나라의 자살로 인한 사망자 수는 1만4427명(남성 1만60명, 여성 4367명)으로 인구 10만 명 당 사망자는 약 29명이며, 성별로는 으로 남성 사망자가 여성보다 2배 이상 많다. 
 
실제 우울증과 자살기도 등으로 인한 의료기관 이용률은 여성이 높지만 자살 사망률로 남성이 높은 것은 여성에 비해 사전에 우울증 치료를 기피하고 더 치명적인 방법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심사평가원 박두병 심사위원은 "우울증은 정신과 약물치료로 좋은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으며, 스스로 해결하려 하기보다는 약물 치료와 더불어 정신·인지치료 등 적극적인 치료를 통해 심리사회적인 면들을 개선시켜 여유를 가지고 일상생활에 적응하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입증된 예방법은 없으나 우울 증상을 악화시키는 술이나 불법적 약물은 피하고 우울 증상을 감소시키기 위해 걷기·조깅·수영 등 자신이 즐길 수 있는 운동 및 활발한 신체 활동을 적극 권장했다. 쿠키뉴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