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화장품 업체 등 '지역 프리미엄' 활용 치열
산지 이미지 급급…행정, 소극적 평판 관리 그쳐

'제주산(産)'바람이 뜨겁다. 소비 시장을 달구고 있는 '제주 프리미엄'과 달리 일부 과도한 선점 경쟁과 단순히 '이름'만 빌려주는 상황에 대한 기준이 없는 등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대책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는 주문이다.
 
오는 21일까지 '추석선물 할인 대잔치'를 진행하고 있는 우체국쇼핑에서 '제주'란 이름을 내건 상품만 424개나 된다. 강원도가 64개, 울릉도 40개 등의 상황을 볼 때 '제주산'의 신뢰도를 가늠할 수 있다.

이런 상황에 가장 발 빠르게 움직인 것은 대형유통매장이다. 1차산물에 있어 '청정' '신선'이미지를 강조하면서 직접 계약재배를 하거나 선단(船團)과 직거래하는 비율이 계속해 늘고 있다. '제주산 참기름'이란 PB상품이 인기 몰이를 했는가 하면 직접 광어양식장을 운영하기로 하는 등 공격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제주' 경쟁이 치열한 것은 화장품업계도 마찬가지다. 제주산 원료 사용을 통한 청정 이미지가 강조되면서 '제주'를 내건 신제품 경쟁이 치열하다. 제주의 바다와 뭍에서 나오는 것들을 재료로 활용한데 이어 최근에는 탄산미네랄과 화산암반수 등 '물'경쟁에 돌입했다.

식품업체인 CJ제일제당도 생수(삼다수), 용암해수에 이은 제3의 물인 '탄산수'로 제주와 인연을 확대하고 있다.

이 같은 제주 프리미엄 확대에도 정작 자치단체 차원의 소극적 평판 관리가 지역 선순환에 지장을 주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미 지난해부터 관련 업계를 중심으로 '제주 제품 인증 제도'도입이 주문됐지만 현 속도대로 하면 내년은 돼야 활용이 가능할 전망이다. 특히 '산지'이미지에 치우치면서 경제효과로 전환하기 위한 지적재산 차원의 관리를 서둘러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한 업계 관계자는 "제주가 잘 팔린다지만 지역 체감은 덜한 것이 현실"이라며 "꿀 맛 나는 감자칩 열풍으로 강원도 수미 감자 매출이 90%까지 늘었다는 스토리가 나오지 않는 것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고 미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