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식지와 월동지를 오가는 철새(候鳥)를 한국에선 크게 네 부류-겨울새 여름새 나그네새(通過鳥) 떠돌이새(漂鳥)-로 나눈다. 겨울새는 가을에 북녘에서 번식하고 남하해오는 새 가운데 한국에서 겨울을 지내는 조류를 말한다. 여름새는 이른 봄 남녘에서 날아와 한국에서 번식하고 가을철 남녘으로 월동키 위해 다시 남하 이동한다. 나그네새는 북녘에서 번식하고 남녘에서 월동하는 새 가운데 봄 가을에 한반도를 통과만 하는 새를 가리킨다. 떠돌이새는 여름엔 심산오지에서 번식하고 가을부터 이듬해 봄까지 평지에 내려와 생활하는 새를 일컫는다. 한국의 철새는 겨울새 112종,여름새 64종,나그네새 90종 등 모두 266종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국에서 당적(黨籍)을 자주 바꾸는 정치인이 많다. 이른바 '철새 정치인' 또는 '정치 철새'들이다. 당을 옮기는 회수가 한 두 번에서 많게는 대 여섯 번에 이르기도 한다. 부류도 다양하다. 자신의 정치이념이나 '소신'에 따르거나 당명이 바뀌어서 옮기는 경우가 간혹 있다. 하지만 '따뜻한 햇볕'만 쫓아가는 부류가 대부분이다. 역대 정권에 상관없이 자신의 정치생활을 거의 집권 여당에서만 하기는 이도 많다. 이는 개인적인 입지나 이익을 위해선 '정치 텃새(留鳥)'이기를 쉽게 포기하기 때문이다. 정치 철새들은 명예나 지조는 아랑곳 않고 '지역주민들의 뜻'이라는 궁색한 변명을 달고 날아 가버린다. 그래도 별문제가 없는 게 한국의 정치풍토이고 이게 문제이다.

한국의 정당은 또 다른 의미의 '정치 철새'를 계속 양산하고 있다. 밀실공천을 통해 소속 정치인들을 장기판의 말처럼 이리 저리로 옮기기 일쑤이다. 오로지 의석 수를 늘리기 위해 지역주민들의 의사와는 무관하게 지역구를 정해 공천한다. 연고 있던 없던 지명도와 상대 정당 후보와 비교만으로 결정하는 게 상례이다. 어떤 곳은 '누구의 저격수'로,'바람몰이'로 떠밀어 저울질한다. 강력하게 휘두르는 공천권 앞에 소속 후보들은 순한 양이 될 수밖에 없다. 그러면서도 자신들은 민주정당이다, 국민을 위한 정당이라고 떠들어댄다.

최근 여야가 16대 총선 공천 작업을 벌이면서 '정치 철새'를 양산하는 낙하산 공천은 사라지지 않고 있다. 이 같은 풍토가 달라지지 않는 한 낙천 낙선운동 보다도 더욱 강력한 국민적 저항이 없을 것이라고 누가 장담할 수 있을까. <하주홍·코리아뉴스 국장>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