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홍석 전 동국대교수 학장·이학박사·논설위원

명문대학반열에 오른 어느 대학에서 '학위장사 그만두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학생들이 데모에 들어갔으며 이런 일들은 다른 대학으로 번져가고 있다. 대학캠퍼스에서 분쟁 소지를 낳아온 것은 이미 오래된 일이었다. 대학 간판에 목말라하는 사람들에게 기회를 부여하기 위한 것인가 아니면 경영재원을 확보하려는 방편인가, 이것이 분기점(分岐點)으로 작용해왔다.

이번 사건도 특정대학에 국한된 학내문제가 아니라 '전국대학의 현안(懸案)문제'로 바라보며 '해결방법을 찾는 기회'로 삼는 것이 온당하다. 우리나라 실정은 고등학교졸업생의 80%가 대학으로 진학하는 '기이(奇異)한 현상'에 빠져있다.

그러므로 치열한 경쟁을 통해 명문대학에 입학하는 자체가 쉽지 않다. 그런 까닭에 이런 과정을 밟아온 학생들에게, 자부심으로 가득 채워질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교육현장에서는 이런 학생들의 자부심마저 외면한 채로 '차별적 선발에 의한 동등한 대우'로 이어가려고 시도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기득권을 가진 학생'들로서 불만으로 가득할 것은 당연하다. 민주사회에서 강조하는 기회평등이 아니라 '결과적인 평등'에 초점을 맞추어가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학생들의 주창처럼 소수에 의한 '독점적 위치'만을 강조하는 것도, 온당한 방법이 될 수는 없다. 이럴 때일수록 '높은 신분의 도덕규범(noblesse oblige)'처럼 못가진 자에 대한 배려하는 마음도 중요하다.

문제는 '가진 자와 못 가진 자' 사이에서 벌어지는 충돌소지를 어떻게 조정하느냐 이것이 관건으로 떠오른다. 학생들은 대학설립 당시를 떠올리며 '불우했던 사람들을 대상'으로 중생구제를 위한 '숭고한 정신'에서 출발한 대학임을 재인식할 필요성을 느낀다. 대학 당국도 재원확보만을 염두에 둘 것이 아니라, 기회를 놓쳐버린 불우했던 사람들에게 '재도약의 기회'를 마련하기 위해서 '엄정한 선정'으로 이어지는 것이 마땅하다.

일부이더라도 진리를 추구하는 대학마저 고깃덩이를 바라보며 '눈망울을 굴리는 독수리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그 근거로서 전문대학원의 경우 정상궤도를 달리는 정통파 학생보다 특수과정이 주도권을 장악하고 있다. 그러므로에 오늘날의 데모에 참여한 학생들로서 '학위장사라는 슬로건'을 내세우고 대학을 비판하는 데 앞장서 왔으므로 근거가 없는 '허구(虛構)적인 주창'으로만 볼 수도 없다.

예전부터 '돈을 돌처럼 바라보라'는 선현들의 교훈(敎訓)이 있었건만, 여기에는 안중에도 없고 '돈 놓고 돈 먹는 방식'만을 적용해왔다. '진리(眞理)의 전당'으로 자부해온 대학마저 이럴 정도라면 일반사회의 경우 어느 정도로 추락했는지 짐작하고도 남는다. 하지만 대학은 오염으로 얼룩진 일반사회와는 다르다. 학행일치(學行一致)를 강조하며 사회적 시범을 보이는 데 앞장서야 하기 때문이다. 대학마저 '혼탁의 길로 추락'하고 있다면 '국민적 희망'을 어디에서 찾아야할지 암담할 따름이다.

이제 학생과 교수진은 대결(對決)구도에서 벗어나 '융합(融合)의 전기'로 삼으며, 미래를 향해 전진해나가는 것만이 국가를 위한 헌신의 길이 된다. 이를 위한 실행방법으로 '양쪽에 걸친 반성'과 새로운 출발을 위한 전환점이 필수적이다. 환골탈태(換骨奪胎)의 글귀처럼 근본적 골격을 바꾸지 않고 '막중한 사업을 실행'해나갈 수 없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학생들은 박애(博愛)정신에서 출발한 '대학의 설립취지'를 먼저 되새기는 것이 필요하다.

대학경영에 참여한 교수집단은 '허심탄회(虛心坦懷)한 심정'으로 돌아가는 것이 마땅하다. 또한 외형주의에 함몰된 일반사회와는 다르게 '교단(敎壇)으로 활용해온 전통적 행단(杏亶)'을 떠올리며 오직 진리를 통해 국가발전에 이바지하려는 '숭고한 정신'을 보일 때인 것이 확실하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