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변 용천수에 대한 영향분석도 안된 채 지하수 굴착허가가 무분별하게 이뤄지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속보=지하수 굴착허가가 용천수 주변에 대한 정확한 조사도 없이 시행되고 있어 보완책 마련이 시급하다.

특히 용천수가 오랜기간 생활용수 및 음용수로 사용돼 역사 및 학술적 가치가 풍부한데도 이를 방치하는 사례가 많아 체계적인 관리방안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8일 서귀포시에 따르면 관내 용천수는 해안가와 육지부를 포함, 161군데며 일일 용출량은 28만3470톤에 이르고 있다.

또한 시는 이 가운데 음용수로 사용되고 있는 13곳의 용천수에 대해 주기적으로 수질검사 등을 실시하고 있다.

이처럼 용천수가 음용수 등 일상생활에 밀접하게 이용되고 있는데도 제주도가 용출량을 고갈시키는 주범으로 인식되고 있는 지하수 굴착허가를 무분별하게 내주고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지난해 말 동홍동 속칭 ‘산지물’ 용천수 인근 10m지역에 지하수 굴착허가를 이루어진 것을 비롯해 용천수 반경 500m 인근에 산재한 지하수공도 40여개소 이르는 것으로 시는 파악하고 있다.

이 때문에 용천수 용출량이 크게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가 하면 용출량이 줄어들어 아예 물이 말라버린 곳도 적지 않은 실정이다.

사정이 이런데도 도는 지하수 굴착허가 과정에서 주변 용천수 피해에 대해 전혀 고려치 않는가 하면 관련 조사도 지난 99년이후 제대로 실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빈축을 사고 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