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 건축경기 활황세로 골재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공급은 한계를 보이면서 올해 220만㎥가 부족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사진은 제주시에 위치한 골재 생산 채석장. 김용현 기자

대한건설협회 도회, 올해 부족량 220만㎥ 전망
도, 공영개발 추진 불구 전략 수립 용역 이제야

제주지역의 '골재난'이 심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건설경기 활황으로 수요가 늘고 있지만 공급량은 턱없이 부족한데다 제주도가 추진하고 있는 골재 공영개발도 더디게 진행되면서다.

골재는 자갈, 모래 등 레미콘의 주 원료로, 도내 건설 현장의 경우 자갈은 도내에서 수급하고 있으며, 모래는 대부분 육지에서 반입하고 있다.

10일 도에 따르면 지난 10월 말 기준 제주지역에서 골재를 채취하고 있는 업체는 모두 15개로, 같은 기간 총 허가량 1292만6000㎥의 61.4%(794만7000㎥)를 생산했다.

문제는 올해 제주지역 골재 공급 예상량이 수요량에 크게 미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되는 등 골재수급 대란이 우려되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 대한건설협회 제주특별자치도회는 올해 제주지역 골재 부족분을 25t트럭 기준 12만9000여대 분량의 220만3000㎥로 예상하고 있다.

대한건설협회가 9일 발표한 '2017년도 건설자재 수급전망'에서도 철근, 시멘트, 합판 등 주요 자재들의 수요는 전년 대비 감소한 반면 골재는 9.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부산·울산·경남 지역은 4대강 사업으로 하천골재 채취가 제한돼 공급 부족분을 타 지역에서 채우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지속되는 골재난을 해소하기 위해 도가 추진하고 있는 골재 공영개발도 지지부진하다.

도는 지난 2015년부터 골재난 해소를 위한 공영개발을 추진하고 있지만 전략 수립 용역은 올해 1월에야 시작됐는데다 부지 선정 및 주민 합의 등 난제들이 산적해 사실상 2019년에야 개발이 이뤄질 전망이다.

더욱이 골재 공급을 늘리기 위한 채취 허가 확대 및 공영개발 모두 인근 주민들의 반대와 환경 훼손 문제를 야기할 수밖에 없어 행정의 절충안 마련도 시급한 과제로 남고 있다.

대한건설협회 도회 관계자는 "공급 부족이 지속되면서 운송비를 제외한 골재 1㎥ 가격은 2014년 1만원에서 지난해 2만2000원으로 갑절 이상 올랐다"며 "기존 석산들의 허가기간도 만료를 앞두고 있어 행정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고경호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