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현 경제부장 대우

최근 우리 정부가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 배치를 진행하면서 중국정부의 보복이 노골화되고 있다. 특히 중국정부는 자국경제에 피해가 입을 수 있는 반도체 등의 제조업 수입규제는 거의 하지 않고, 관광과 문화분야를 중심으로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관광산업 비중이 높고 특히 외국관광객 중 중국인 유치 의존도가 높은 제주경제는 다른 지역보다 더 큰 타격을 입는 상황이다.

일본은 2012년 현재 우리나라의 사드국면과 비슷한 상황을 맞았다. 지난 2012년 9월 당시 일본 민주당 노다정권이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국유화를 선언하자 중국은 강력반발하면서 즉각 전방위 보복에 나섰다. 우선 일본 제품 불매운동이 격화됐고, 특히 일본 관광 금지조치가 취해졌다. 

일본을 방문한 중국관광객은 2012년 10월 6만9713명으로 전년 대비 무려 34%나 급감했고, 이 추세는 다음해인 2013년 여름까지 1년 내내 지속됐다. 일본은 당시 중국의 무역보복조치로 큰 타격을 입었지만 오히려 탈중국 정책을 강화하면서 위기에서 벗어났다. 일본의 관광산업 역시 중국에서 한국을 비롯한 동남아와 유럽 등의 여러 나라들로 다변화 한 것이다. 또한 중국의 경제보복 조치가 일본내 진출한 중국기업과 자본들에게도 막대한 손실을 입는다는 것을 느끼게 했다. 중일간 센카쿠 영토분쟁은 4년 넘게 진행되고 있지만 2년후인 2014년부터 일본 방문 중국관광객은 크게 늘었고, 엔저현상에 따라 오히려 분쟁전보다 더욱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결국 제주관광이 이번 사드사태라는 큰 위기에서 벗어나려면 중국의 의존도를 낮추는 근본적인 체질 개선이 필수 과제가 됐다. 과거 제주관광의 큰 손이었던 일본관광객을 다시 유치시키고, 가깝게는 동남아 멀게는 유럽과 미주대륙권 국가까지 시장다변화를 통해 제주관광경쟁력을 키워야 한다는 지적이다. 또한 중국의 한국관광금지 조치가 현재 제주에 진출한 중국기업과 자본에 막대한 손실을 준 다는 것을 일깨워주면서 단계적으로 보복수위를 낮추는 외교적 노력도 필요하다. '비온 뒤 땅이 더욱 굳어진다'라는 속담이 있듯이 제주관광이 이번 위기를 통해 근본체질을 바뀌고 경쟁력을 한층 높이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