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필 정치부장

최근 각급 기관과 기업들이 랜섬웨어(Ransomware)라는 악성 프로그램으로 긴장하고 있다. 

랜섬웨어는 '몸값'(Ransom)과 '소프트웨어'(Software)의 합성어로, 기업이나 정부, 개인 컴퓨터를 침입해 중요한 파일들을 암호화시켜 사용할 수 없도록 한 뒤 이를 풀어주는 대가로 금전 등을 요구하는 프로그램을 뜻한다. 랜섬웨어는 2005년부터 알려지기 시작해 2013년 들어 세계적으로 급증하고 있다. 랜섬웨어 공격을 받은 공공기관, 기업, 개인 PC 등이 매년 늘어나는 추세다. 

이스트소프트가 발표한 '2016년 랜섬웨어 동향 결산'에 따르면 지난 2016년 1월부터 12월까지 '알약'을 통해 사전 차단된 랜섬웨어 공격은 397만4658건으로 전해졌다. 

랜섬웨어 공격은 해마다 과격해지고 위험해지면서 보안 위협도 덩달아 높아졌다. 이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는 16일 산하 공공기관에 랜섬웨어 대비태세를 강화해줄 것을 요청했다. 아직 산자부 산하 공공기관에 랜섬웨어 피해는 없는 상황이지만 사이버 대응현황을 점검하면서 이같이 주문했다. 변종 출현과 새로운 유형의 공격 가능성이 상존하는 만큼 기관별로 사이버 대응태세를 더욱 강화해달라는 것이다. 특히 국방부는 랜섬웨어 확산에 대응해 정보작전방호태세인 '인포콘'을 준비태세 단계인 4에서 3으로 한 단계 격상했다. 국가사이버안전센터가 지난 14일 사이버위기 경보를 관심에서 주의로 상향조정한 시점이다. 

합참의장이 발령하는 인포콘은 1∼5단계로 나뉘며 북한의 사이버테러 가능성이 커질수록 단계적으로 격상된다. 군의 랜섬웨어 피해는 아직 없지만 군 당국은 랜섬웨어 피해 예방을 위해 인터넷을 제한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랜섬웨어 사이버공격의 배후가 북한이라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경찰청 사이버안전국이 해킹공격과 관련한 증거자료를 수집하고 있는 상황이다. 사이버공격의 표적은 정부기관만이 아니다. 제주도를 비롯한 도내 공공기관 등도 사이버공격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사이버공격으로 전산망이 마비될 경우 행정업무는 물론 민원처리 지연으로 도민들이 불편을 겪게 된다. 사이버공격에 대응하기 위한 점검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