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계획 2024년에야 완료…예비타당성 문제로 지체 
매년 물 부족 되풀이…사업기간 단축 등 대책 절실

제주특별자치도가 최근 초기 가뭄에 대응하기 위한 비상체제에 돌입한 가운데 매년 농업용수 부족 문제가 되풀이되고 있어 대책이 요구된다. 

가뭄 피해를 근본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는 2024년 예정된 도 전역 농업용수통합광역화사업 완료시기를 앞당겨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20일 제주도에 따르면 현재 제주지역은 지하수 관정 1개당 농업용수를 공급할 수 있는 지역이 한정돼 있어 농가들의 물 부족 현상이 해마다 재현되고 있다.

실제 제주지역 전체 농지면적 6만2000여㏊ 중 농업용수가 아예 공급되지 않는 농지는 5674㏊(9.1%)에 이른다.

여기에 과거 밭기반사업에 포함되지 못하면서 농업용수 공급에 차질을 빚고 있는 2만8150㏊(45.4%)를 합치면 전체의 절반 이상이 가뭄 때마다 물 부족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제주도는 가뭄이 극심했던 지난 2013년 농업용수 부족 사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도 전역 농업용수통합광역화사업에 착수했다.

도내 농지를 총 11개 권역으로 나눠 농업용 관정 58개, 용천수 6개, 대용량 저수조 58개를 설치한 후 503.9㎞ 길이의 관로로 연결해 지역·시기별로 농업용수를 균등 배분하는 게 광역화사업의 주요 내용이다.

같은해 도는 자체 용역을 통해 총 2200억원(국비 80%·지방비 20%)의 사업비를 책정했지만 정부가 예산 과다를 이유로 예비타당성 조사를 미루면서 광역화사업 추진에 제동이 걸렸다.

결국 도는 사업비를 1447억원으로 낮춰 사업 착수 4년만인 지난해 7월에야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심사를 통과했으며, 광역화사업은 올해 기본계획 수립·전략환경영향평가, 2018년 실시설계를 거쳐 오는 2024년에야 완료될 전망이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올해 역시 초기 가뭄이 관측된 지난 5월 이후 도내 농가들의 농업용수 부족 사태가 심화되고 있지만 도는 물백 설치, 소방차량·공사용 물차 가동 등 미봉책 추진에 그치고 있다.

농업용수통합광역화사업을 조기에 완료하기 위한 국비 확충 등 중앙절충이 과제로 제시되고 있다. 

남원읍의 한 감귤농가는 "관수로 농업용수를 공급해야 하는 제주농업의 특성을 배려하지 않은 정부와 도의 절충 능력 부족으로 광역화사업이 차일피일 미뤄졌다"며 "결국 농가들은 2024년까지 매년 가뭄이 들 때마다 속만 태워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