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포럼 4·3세션, 4.3예술 아카이브 워크숍·토론회 잇따라
‘희생양’성격 차별화…당사자성 탈피 접근방식 다각화 주문

‘제주4·3 70주년’을 성과로 살펴야 하는가에 대한 반성과 성찰의 목소리가 정주년을 기념한 크고 작은 사업 상당수를 마무리한 6월 마지막 후반 사업과 그 다음에 대한 각성으로 이어졌다. 제주포럼 4·3세션(주관 4·3연구소)과 4·3예술아카이브워크숍 및 토론회(주관 제주4·3 70주년기념사업회·제주민예총)다.

 

△ 국가폭력과 기억, 그리고 4·3

지난달 28일 막을 내린 제13회 평화와 번영을 위한 제주포럼 4·3세션에서는 4·3의 존재양식과 성격 정립이 주요화두였다.

기조발표를 한 이만열 숙명여대 명예교수(전 국사편찬위원장)는 “제주4·3은 동학농민혁명, 일제강점기 3·1운동, 4·19혁명, 5·18 광주민주화운동, 6월 민주화운동, 촛불혁명과 궤를 같이 하는 한국 근현대사의 위대한 민주화운동”이라고 평가했다. 원로역사학자인 그는 4·3에 대해 “‘같은 맥락이라 하더라도 4·3은 희생양’의 성격을 갖고 있다. ‘집단학살’이란 비극적 상황을 살펴야 한다”고 언급했다.

'외신이 본 4·3세션'에서 미국 더네이션 뉴스타파 한국저널리즘센터 팀 셔록 기자는 30여년의 취재를 토대로 미국의 책임을 물었다. 셔록 기자는 "제주 4·3과 1980년 광주항쟁 사이에 가장 중요한 유사점은 진압과정에서 미국이 수행한 역할"이라며 “정치적 목적을 위해 민간인을 상대로 조직적으로 행해진 탄압에 있어 미국의 역할을 완전히 공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시바시 히데아키 아사히신문 센다이총국 편집위원은 자이니치 취재 과정에서 제주4·3을 만났다. 그 경험들로 이시비시 편집위원은 “일본인도 한 당사자로 4·3을 마주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시비시 편집위원은 “권력구조가 일그러지며 만들어진 틈이 4·3이란 비극을 만들었다. 그 틈이 생긴데 일본도 자유로울 수 없다”고 말했다.

 

△기억투쟁, 70년을 고함

“제주4·3 70주년을 맞아 이루고자 했던 것은 무엇인가”. 길지 않은 질문이었지만 침묵은 길었다.

제주4.3 70주년 기념사업위원회는 4.3예술 아카이브 워크숍·토론회 ‘기억투쟁 70년, 4.3예술의 현재와 미래’를 지난달 28~29일 W스테이지 제주에서 진행했다.

‘4.3예술 아카이브’의 필요성에 대한 공론으로 시작한 자리는 70주년 문화예술사업을 평가하며 4·3예술의 현재를 살피면서 날카로워졌다.

발제와 토론 전반에 걸쳐 ‘4·3의 문화예술적 공유’가 언급됐다.

양동규 제주4·3 70주년기념사업회 문예위원장은 4월 3일을 중심으로 이뤄진 기념사업을 정리하고 “시간이 걸리겠지만 앞으로의 4·3예술은 누가 해야 하는지, 지금까지의 4.3예술 활동은 어떻게 정리해야 할지 공론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김수열 4·3 70주년 범국민위원회 공동운영위원장은 “전국 20개 지역에 4·3분향소가 설치됐다는 것은 충분히 의미 있는 작업이었다”고 전국화의 의미를 살피고, “사업 전반에 걸쳐 잘 이뤄졌다고 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4·3을 체험한 마지막 세대와 공유한 것은 무엇인지, 4·3을 넘어서는 4·3예술을 어떻게 완성할 것인지는 아직 고민”이라고 말했다.

당사자성에서 벗어난 다각적 접근(류성 극단 경험과상상 대표)과 더불어 사업·행사에 함몰되는 것에 대한 경계(최상돈 4·3문화예술축전 총감독) 등이 공감을 샀다.

특히 제주시에 집중되면서 노출된 접근성 문제 해결과 사업에 참여한 단체간 유연한 소통 채널 구축, 학예·기획 분야 확대와 연대 강화 등의 의견이 모아졌다.

강정효 ㈔제주민예총 이사장은 “앞으로의 4·3은 소재주의로 접근해서는 안된다”며 “4·3문화예술운동 과정 정리에 있어 공공 개념으로 접목하는 숙제를 풀어갈 것”이라고 정리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