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출신 고연홍·박재하·김진현·김백능 독립운동가 100년만에 유공 서훈]

국가기록원, 3·1운동 자료총서 부실 편찬 보도 이후 3년만의 성과
한국여성독립운동연구소, 자료 수합 포상 신청…3월1일 서훈 추서

일제강점기 목숨을 걸고 조국 독립을 외친 제주 출신 독립운동가 4명이 100년만에 독립유공자로 인정받았다. 이 가운데 제주 출신 여성독립운동가의 유공 서훈은 2005년 부덕량 해녀(1939년 작고) 이후 14년 만이다. 특히 국가기록원이 2016년 처음 발간한 여성독립운동사 자료총서 부실 편찬 본보 보도(본보 2016년 3월 8·9·10일자 1면, 3월 11·24·25일자 4면, 4월 13일자 6면)로 고연홍·박재하 독립운동가가 재조명되면서 이번 유공 서훈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다.

△광주 3·1운동, 조천만세운동 참여

제주도보훈청과 광복회제주도지부에 따르면 올해 3·1운동 및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아 국가보훈처가 진행하고 있는 독립유공자 서훈 심사에서 항일운동과 관련해 제주출신 고연홍·박재하·김진현·김백능 독립운동가의 유공자 서훈이 확정됐다.

제주도보훈청은 지난 16일 국가보훈처로부터 제주출신 독립운동가 4명의 독립유공자 인정 사실을 통보받았다.

정부의 포상 훈격은 아직 결정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4명에 대한 서훈 추서는 3·1운동 100주년을 맞는 오는 3월 1일 기념식때 이뤄질 예정이다.

전남 광주 수피아여학교에 재학중이던 고연홍 독립운동가(1903년~?, 제주면 상천동)와 광주에서 신발가게를 운영하던 박재하 독립운동가(1884~1933년, 제주면 중문리)는 1919년 3월 10일 발발한 광주지역 3·1 운동에 참여했다가 체포돼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4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

이화여고보 4학년이던 김진현 독립운동가(1911~2001년, 제주 신좌면 조천리)는 1930년 1월 15일 서울 항일학생운동을 전개해 징역 6월, 집행유예 3년을 선고받았다.

김백능 독립운동가(1898~1929년, 조천리)는 1919년 3월 21일 조천만세운동에 참여했다 징역 6월, 집행유예 3년을 선고받았다.

제주보훈청 관계자는 "그동안 유족·후손의 서훈 신청이 없거나 자료가 부족하고 행적이 불분명하면 심사 대상에 오르지 못했다"며 "현 정부 들어 포상 심사 기준이 완화되면서 수형인명부, 판결문 등이 있으면 인정받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국가보훈처의 심사 대상에 오른 강평국·이경선 여성독립운동가의 유공 서훈 여부에도 관심이 모아진다.

△유공자 서훈 발판 마련

제민일보는 2015년 광복 70주년 기획 '제주 여성 독립운동 열전'을 통해 조명 받지 못했던 이 땅의 여성 독립운동가를 보도했다.

이후 2016년 국가기록원이 3·1운동 97주년을 맞아 처음 발간한 「여성독립운동사 자료총서(3·1운동편)」에 제주출신 독립운동가의 역사 기록이 타지역 출신 독립유공자와 뒤바뀐 채 편찬된 사태가 발생한 문제를 찾아내 집중 보도했다.

당시 제주출신 고연홍 독립운동가의 판결문 판독 오류 사실뿐만 아니라 타지역 출신 독립유공자의 기록이 잘못 기재된 사실도 지적했다.

이에 국가기록원은 본보 보도 이후 판결문 판독 오류 사실을 인정하고 자료총서 재검증에 착수, 국·공립도서관 등 380곳에 배포한 자료총서를 모두 회수하고 독립운동가와 유공자들의 잘못된 기록을 바로잡았다.

이 과정에서 3·1운동에 참여했지만 유공 서훈을 받지 못한 제주출신 고연홍·박재하 독립운동가에 대한 재조명이 이뤄지면서 사회적 관심을 환기시켰다.

도보훈청은 처음으로 고연홍·박재하 독립운동가에 대한 추적조사와 국가보훈처 독립유공자공훈심사위원회에 직권조사를 요청했다.

광복회제주도지부도 이들과 함께 독립운동을 한 열사들이 정부 포상을 받은 사실에 주목, 공훈자료를 찾는데 주력했다.

지난해에는 본보는 취재과정에서 확보한 고연홍·박재하 독립운동가의 일제 판결문과 수형인명부 등 관련 자료를 한국여성독립운동연구소에 보내 유공자 서훈 신청이 이뤄지는 발판을 마련했다.

심옥주 한국여성독립운동연구소장은 "제민일보가 확보한 자료를 가지고 국가보훈처에 포상을 신청했다. 관련 자료와 보도가 고연홍·박재하 독립운동가의 유공 서훈에 크게 기여했다"며 "서훈 제출과정에 일부 여성 독립운동가는 국가보훈처도 확인중에 있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