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절벽 위기의 제주 <하>

지난해 순유입감소 절반 이상 주 생산인구…40대 3년 연속 감소
청년 중심 일자리 질·지속성 등 확보 절실 현실성 반영 대책 주문

인구 자연감소와 고령화 외에도 제주는 청년층 이탈과 이주인구 리턴에 대한 부담을 고민해야 하는 상황이다. 경제 공동화에 대한 우려다.

△20·30·40대 모두 '탈제주'

통계청의 순인구이동 통계를 보면 핵심노동인구(25~54세) 이탈은 이미 2016년부터 시작됐다. 2016년 제주 순유입인구는 1만4632명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지만 40대에서 137명이 빠져나갔다. 2017년도 전년대비 627명이 줄어든 1만4005명이 순유입됐지만 30대만 244명, 40대 21명, 50~54세 141명이 제주살이를 정리했다. 지난해는 그 상황이 더했다 그나마 2016년·2017년 각각 265명·318명 늘었던 20대가 지난해만 833명이나 탈제주를 선택했다. 30대도 868명, 40대는 1263명이 떠났다. 50~54세 이탈 인원 509명을 포함하면 핵심노동인구만 3473명이 제주 고용시장을 벗어났다. 지난해 순유입인구 규모가 전년대비 5152명 감소한 것을 감안하면 지역 경제가 느끼는 활력 둔화 정도를 가늠할 수 있다.

제주특별자치도가 지난해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 의뢰해 진행한 일자리 인식 실태조사에서도 유사한 경고가 나왔다.

제주의 사회적 증가 인구(전입인구-전출인구)는 2010년 순유입으로 전환된 이후 연평균 34.7%(2010~2017년간) 증가했지만 2017년 이미 마이너스로 전환(-4.3%)됐다. 지난해는 전년 대비 36.8%나 감소했다. 이탈 원인으로 일자리 질 저하와 근로만족도 하락, 주거 부담이 꼽혔다.

총인구수를 유지한다고 하더라도 일할 사람이 없는 상황은 지역 생산과 소비 모두 위축시킬 수밖에 없다.

서울대 인구정책연구센터의 '제주특별자치도 2030 인구변화 예측 및 대응방안'연구 용역 결과도 비슷한 결론을 내렸다. 2010년 이후 인구 증가세를 반영했을 때와 그러지 않았을 때, 현 수준을 유지하는 것을 가정으로 한 3가지 시나리오 반영 때 총인구 수에서는 30만명 가까운 편차가 났지만 부양비 증가와 재생산 속도 저하로 인한 부작용을 우려했다. 특히 고령인구 급증에 따른 사회적 부양 부담이 지속적으로 커지는데 반해 청년 인구 순환 구조를 제대로 구축하지 못할 경우 생산력 약화에 따른 지역 소멸이 불가피 할 것으로 분석했다.

△청년 정착 유도 한계

당장 청년 인구 이탈을 막기 위한 특단의 대책이 절실하지만 고용시장이 지닌 구조적 약점을 해소해야 하는 등 넘어야 할 산이 많다.

'2018 제주도민 일자리인식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제주 청년층(만 18~34세)이 원하는 월평균 임금은 248만4000원으로 실제 받는 임금(평균 200만3000원) 48만원 정도 차이가 났다.

비취업자를 기준으로 지난 1년간 구직경험 비율은 2015년 27.8%에서 지난해 24.9%로 낮아졌다. 첫 취업까지 소요기간도 16.6개월에서 17.1개월로 늘었다. 제주 소재 연봉 2000만원 일자리'보다 '수도권 소재 연봉 3000만원 일자리'가 낫다는 반응도 3년 전 30.1%에서 지난해 43.0%로 늘었다.

지난해 일자리정책 로드맵을 통해 4062억원을 투자하고 4410명이 일자리를 얻는 등의 실적을 냈지만 제주 지역 임금근로자 비중이 65.0%(2018년 11월 기준)로 전년 68.1%에 못 미쳤는가 하면 여성과 일용노동자들이 노동시장을 이탈하는 등 고용의 질이 크게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주력했던 청년 고용 역시 2017년 47.7%던 고용률은 지난해 46.2%로 떨어졌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