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해녀 문화로 꽃 피우다15-베트남 수상인형극 ①

'물에서 춤추는 인형' 특유 색깔로 경쟁력 확보
17개 소재·서민적 삶·전설 등 다루며 공감 유도
경제적 한계·전승체계 미흡 등 단절 위기 커져

중국에 경극, 일본에 가부키, 한국에 남사당놀이가 있다면 베트남에는 수상인형극이 있다. 수상인형극은 베트남에서 빼놓을 수 없는 볼거리로, 1000년의 세월 동안 묵묵히 자신만의 색깔을 만들어낸 전통인형극이다.

베트남은 수상인형극을 유네스코 인류문화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아직까지 성사되지 않고 있다. 연행자들 사이에서 등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것과 달리 수상인형극의 유일무이함과 토착성을 입증할 자료를 확보하지 못했다.

△ 1000년 전통의 자부심

수상인형극을 베트남어로 하면 '무어 로이 느억', 물에서 춤추는 인형들이라는 뜻이다. 예전 농민들이 수확의 기쁨을 나누기 위해 호수나 연못 등지에서 인형을 만들어 공연을 펼친 것에서 비롯된 베트남만의 독특한 문화다. 베트남 북부지역 농촌마을에서 시작된 수상인형극은 이제 전 세계인이 즐기는 공연문화가 되었다. 

수상인형극의 연희를 담당하는 인형술사들은 물속에서 대나무 막대를 조종하면서 공연을 펼친다. 인형의 크기는 30~80㎝로 그리 크지 않지만, 무게는 1~5㎏에 달해 물속에서 이 인형을 조종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이런 이유들로 1000년을 이어온 전통문화 전승자들인 인형술사들은 인형마다 자신의 도장을 새겨 넣을 정도로 자부심이 대단하다.

수중 무대에서는 총 17가지 짧은 소재를 담은 이야기를 공연한다. 효과음이나 음악을 담당하는 연주자들은 무대 양쪽에 자리하여 극의 진행을 돕고 관객의 흥미를 돋운다.

11세기 궁중에서까지 유행했을 정도로 베트남인들의 각별한 사랑을 받았던 배경에는 그 유래를 찾을 수 없는 독특한 양식과 서민들의 애환을 담은 소박한 내용이 있다.

베트남 북부 지방의 농촌 마을들을 중심으로 누대를 이어 자연스럽게 전수되던 것을 수상인형극 조합들에 의해 다시 맥을 잇는 형태를 하고 있다. 실제 베트남 수상인형극은 전통축제 마당에서  빼놓을 수 없는 단골 메뉴로 한때 하노이 등 북부 지방에만도 모두 26개가 넘은 수상 인형극 조합이 활발히 활동하기도 했다.

원래는 극장 안이 아니라 마을마다 흔하게 흩어져 있는 호수나 연못에 인형을 조종하는 수상 누각을 짓고 공연을 벌였으며, 공연 시간도 밤이 아니라 한낮이었다. 

△ 전쟁 단절 위기 극복

수상인형극에 등장하는 인형은 전문 조각가들이 솜씨가 아니다. 각 마을의 인형극 조합 구성원들이 직접 인형을 만들기 때문에 인형들의 표정 하나 하나에는 베트남 농민들의 소박한 미학이 담겨 있다. 베트남에서 매우 흔한 돼지나무로 투박하고 거칠게 깎아 만든 인형들은 논이나 밭에서 일하는 베트남 사람들의 표정이 단순하면서도 함축적으로 녹아 있다.

음악과 대사는 인형들의 움직임을 쫓아가며 극을 한층 흥겹게 이끈다.

무대 왼편 옆에 자리 잡은 악사들이 음악을 연주하며 동시에 인형들을 대신해 대사를 읊는다. 이들은 인형의 동작에 맞춰 피리나 북 등 여러 가지 베트남 민속 악기 합주를 들려주기도 하고 구수한 입담으로 대사를 외우기도 하며 극의 분위기를 한층 고조시킨다.

수상인형극이 되살아나고 있는 것은 베트남의 경제적 부흥과 함께 수상 인형극이 뿌리박고 있는 농촌을 비롯한 기층사회의 건강한 삶의 활력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베트남전쟁으로 인해 한동안 역사 단절의 위기를 겪기도 했지만 '세계에서 유일한' '독창적'인 공연이라는 점에서 1980년대 후반 부활한다.

현재 수중인형극은 호수와 연못, 논, 주민들이 있는 마을에서 연행되고 있을 뿐 아니라 도시로 전해져 전문화 단계를 밟고 있다. 하지만 이런 발전에도 불구하고 살아있는 유산으로서의 공동체 수중인형극은 위기에 처해 있다. 과거의 공연 형식은 잊혀 졌고, 연로한 인형사들은 전수자를 찾지 못하고 있다. 

직계가족 등 아주 한정된 수의 가족들에게만 전수되어, 1960년대까지 베트남 북부지방 외에는 잘 알려지지 않았었다.

△ 자부심보다 힘든 현실

탕롱 수상 인형 극단의 조사 자료를 보면 1955년부터 1976년까지 27개 조합이 있었지만  2005년에는 14개만 남았다. 현재는 그 수가 더 줄어든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들 대부분도 인형극 공연만으로는 생활이 힘든 상황이다. 젊은 세대들이 더 이상 이 예술을 습득하는 것을 원치 않으면서 전통 인형극 자체가 단절될 위험에 직면하고 있다.

하노이 연극 영화 학원(Hanoi Academy of Theatre and Cinema)의 수상 인형 학부(Facilty of Water Puppet) 등 전문 인력 양성과정이 있기는 하지만 공연에 참여하기까지 과정은 쉽지 않다. 인형술사 등 수상인형극에 참여하고자 하는 사람은 대학에서 Cheo(베트남 전통 오페라), 춤, 연극, 전통음악 등 수많은 기술들을 습득한 뒤 조합이나 극장에 들어가 다시 옛날 방식을 배운다.

별다른 교재나 과정이 있는 것이 아니라 스승이나 선임자로부터 도제식(徒弟式) 교육을 받는다. 인형극 조종자로 독립하기까지 1년 이상이 걸린다. 인형을 빠르고 능숙하게 조종하는 것은 물론이고 인형의 무게를 이기며 물속에서 작업하는 고된 환경을 감수해야 하는 것까지 선택이 쉽지 않다.

여기에 인형 세트 제작 등 유지 비용 부담도 인형극 전승을 힘들게 하고 있다. 물에서 공연을 하는 까닭에 인형 교체 시기가 비교적 빠르다. 극단별로 매 4개월 간격으로 100개 이상의 인형을 제작하는데 비용만 1억 베트남 동(약 4800$)에서 1억 2000만 베트남 동(약 5700$)이 소요된다.

현대식 수상인형극 극장이 들어서면서 외국인 관광객이 쉽게 공연을 감상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겨났지만 이로 인해 전통성을 상실하는 부작용이 생겨났다. 파고다나 사원 안에 위치한 전통식 극장 형태 공연장은 이제 사라져 거의 찾을 수 없다. 이런 사정들로 상당수의 베트남 사람들이 수중인형극을 본 적이 없고, 그것이 자신들의 전통임을 모르고 있는 실정이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