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선 제주특별자치도 도민안전실장

5월 25일은 방재의 날이다. 정부에서 재해 예방에 대한 국민의식을 높이고 방재 훈련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1994년 제정한 기념일이다.

이날을 기념해 정부와 지자체에서는 각종 방재시설물 점검, 재해위험 요인 일제점검 및 정비, 재해 사전대비 행사, 수해복구 훈련 등 각종 재해 예방 및 복구와 관련된 행사를 실시한다. 
온 국민의 가슴에 정서적, 심리적 트라우마를 남겼던 세월호 사건도 벌써 5년 전 일이다. 이 대형 참사를 계기로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모든 분야에서 안전을 최우선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로 정부에서는 해마다 지자체별 안전에 대한 평가와 점검이 수시로 이뤄진다. 

2018년도 제주도의 지역안전지수는 전체 9개의 도부 중 5위를 차지했다. 유감스럽게도 2015년 지역안전지수 발표 이래 제주는 범죄와 생활안전 분야에서는 4년 연속 최하위 등급인 5등급을 기록했다. 이로 인해 제주특별자치도의 안전관리가 미흡한게 아니냐는 염려의 시선도 있다. 안전지수 평가는 주민등록상 인구를 기준으로 인구 1만명 당 지표를 산정한다. 한해 평균 입도 관광객이 1400만명이 넘고 1일 체류 관광객이 20만명을 넘기는 제주지역에서는 타시도에 비해 불리한 지표가 아닐 수 없다.

또한 제주지역은 안전사고 시 119 구급대 의존율이 39%로 전국 평균 17.4% 대비 2.2배가 높은 편이다. 도민 이용률이 높은 구급차 출동건수는 구급발생 건수로 산정되므로 이 또한 제주지역의 안전지수에 불리한 지표로 작용한다.

이렇듯 지역의 여건이나 지표에 따라 안전지수 평가가 달라지므로 지역안전지수가 그 도시의 안전 순위와는 반드시 일치한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주특별자치도에서는 안전지수 향상을 위해 다양한 노력과 부서 및 기관간 협업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019년도 제주도의 안전정책은 재난과 안전사고의 관리 영역을 확대해 예방과 대응 체계를 강화하고 도내 어디서든지 안심하고 다닐 수 있는 안전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첫째, 범죄 예방 및 대응을 위해 생활방범, 도로 방범, 농산물 도난방지, 초등학교 CCTV 등 6502대의 CCTV 통합관제를 통해 촘촘한 도시 안전망을 구축하고 있다.

둘째, 각종 재난에 대한 매뉴얼 정비 및 현장 작동 훈련을 강화하고 있다. 화재, 감염병, 선박사고 등 재난 유형별 토론 및 현장 대응 훈련을 실시하고 재난 유형별 현장 조치 및 행동 개선 사업을 지속 추진하고 있다

셋째, 온·오프라인을 통한 안전신고 및 접수 처리, 안전관리 생애주기 특별점검, 국가안전 대진단, 각종 축제장 여가활동시설 안전 점검 등 365일 안전한 생활환경을 조성해 나가고 있다.

넷째, 신속한 재난상황 전파를 통해 경보 전달 체계를 고도화하고 있다. 계절별 자연재난 대책 기간 운영과 선제적 상황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인명피해 사전 대비와 취약지역 현장 예찰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다섯째, 맞춤형 도민 안전 교육과 재해·재난 사고에 대한 도민 안전공제보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안전 취약 계층에 대한 맞춤형 안전 교육과 도민들의 재난이나 안전사고에 대한 인적 피해 시 이를 보상해주는 도민 안전공제 보험도 금년 4월부터 실시하는 등 안전복지 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안전정책과 재난 대응 체계의 정비, 안전 인프라 구축과 동시에 안전문화 정착을 위한 활동에도 지대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안전 환경을 구축하고자 하는 제주도의 노력에 나 자신의 안전과 타인의 안전까지 배려하는 도민의 안전의식이 더해지면 제주는 더욱 안전한 도시로 바뀌어 갈 것이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