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선거철에 들어서면서 각종 여론조사가 부쩍 많아졌다. 요즘의 여론조사는 언론이나 정치권이 지역구민들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것들로서 주로 정당과 후보자에 대한 지지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여론조사는 특정현안이나 사회문제에 대해 어떠한 의견을 가지고 있는가를 알아보는 통계적인 조사방식 가운데 하나이다. 여론조사는 사람들의 의견분포를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는 점이 큰 매력이어서 선거와 같이 특별한 쟁점이 대두될 때마다 자주 사용된다.

그러나 모든 여론조사가 100% 정확하다고 믿으면 오산이다. 처음부터 오차를 계산해두고 있는 것도 이와같은 미연의 문제를 사전에 방지해두기 위한 것이다.

여론조사결과가 빗나간 경우는 많다. 그것도 정확도가 높은 선거여론조사에서 그러한 결과가 나와 세계적으로 화제가 됐던 적이 있다. 1948년 미국에서 실시한 선거에서 여론조사결과와는 달리 민주당이 승리했고 1970년 영국에서는 보수당이 다수표를 획득한 일이 있었다.

이같은 결과는 여론조사가 가장 중요하게 다뤄야할 부분들을 간과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학자들은 여론조사의 신뢰성을 위해서는 조사기관이 누구이냐, 인터뷰의 어귀는 명확했는가, 모집단의 선정은 타당했는가, 조사시기는 언제였는가를 정확한 근거아래 판단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예를 들면 20대와 60대, 여자와 남자 그리고 거주지에 따라 조사결과에 큰 차이가 있게 된다. 또 질문하는 내용에 따라 결과가 아주 다르게 나올 수 있기 마련이다. 즉, 어떤 특정후보에 대한 단점을 먼저 강조한 다음 설문을 했다면 그 후보에 대한 지지도는 매우 낮게 나올 수 밖에 없다.

그래서 일부에서는 여론조사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기도 하다. 특히 선거여론조사에는 ‘바람잡이 효과’가 있어서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특정후보에게 유리하게 여론을 조작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많은 여론조사의 옹호론자들은 이러한 폐단에도 불구하고 국민의 정보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과 문제점에 대한 개선만 이뤄진다면 여론조사는 존속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번 총선은 누구도 예측이 어려울 만큼 출발부터 혼미를 거듭하고 있다. 그래서 어느 때보다 정확한 여론조사가 요구되고 있다 하겠다.<김종배·논설위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