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사진

도의회 행자위 농수축위 14일 산지유통기능 확대방안 정책토론회
안경아 제주연구원 책임연구원 행정중심 가격 불확실성 등 한계
권승구 교수 산지유통 및 생산자 주도권 확보 위한 대책 필요

행정주도의 제주산 월동채소 수급안정정책은 한계에 부딪힐 수밖에 없어 생산자 조직 중심으로 정책전환이 필요하고, 산지유통구조를 강화해 농산물시장 주도권을 생산자가 가져야 한다고 의견이 제시됐다.

제주도의회 행정자치위원회(강성균 위원장)와 농수축경제위원회(고용호 위원장), 제주연구원(김동전 원장)은 14일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산지유통기능 확대방안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정책토론회에서 안경아 제주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제주산 월동채소 수급 불안정이 지속하면 농가소득 불안정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정책적 개입이 필요하다"며 "단, 행정주도로 수급안정대책을 추진할 경우 가격 불확실성과 정보부재에 따른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안 연구원은 "생산자 조직 주도로 수급안정정책을 추진해야 하며, 품목별 자조금을 조성하고, 생산자연합회 조직 구성 및 강화가 필요하다"며 "농협 계통출하 확대, 박작물 연합사업단 신설 등을 통해 생산자 조직 주도의 산지유통기능을 확대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특히 안 연구원은 "월동채소를 산지 폐기하면 일시적인 가격 상승효과가 발생하지만 장기적으로는 더 큰 폭락을 가지고 오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자원배분 측면에서도 산지 폐기는 효율적이지 않다"고 지적했다.  

권승구 동국대학교 교수는 "제주산 무와 양배추, 당근 등의 경우 산지유통인의 포전거래를 통한 도매시장 거래가 중심이 되면서 주도권을 상인들이 쥐고 있다"며 "산지 중심의 월동채소 유통구조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권 교수는 "제주는 섬이란 고립된 특수성 때문에 오히려 지역내에서 농산물 생산 및 유통관리를 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며 "산지유통과 생산자 권한 강화를 위해 밭작물 품목별 조직화, 다품목 소량생산 기반 구축, 농민과 소비자 협업시스템 구축, 농산물 유통 혁신 위한 농협역할 강화 등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고용호 도의회 농수축경제위원장은 "수입 농산물로 월동채소를 대체토록 하는 것은 태풍보다 제주 농업을 위협하는 요인이기 때문에 제주산 농산물의 안정적인 판로를 구축하고 지속성을 담보할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용현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