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괄건축가제도 제주 정체성 찾는다 2

서울시 총괄 및 공공건축가 제도를 통해 재탄생한 동작구 신대방 1동 주민센터(건축가 청주대 이지영 교수).

2009년 영주시 첫 도입 이후 서울 세종 부산 충남 등 잇따라 
공공건축 디자인 관리체계 정착, 중앙 공모사업 발굴 등 수행

제주특별자치도가 내년 1월부터 추진할 '총괄 및 공공건축가 제도'는 서울시와 영주시 등 다른 지역에서는 수년전부터 도입했으며, 현재 공공건축물 건립 등에 있어 건축설계품질 및 예산효율성 제고 등에 상당한 성과를 내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총괄 및 공공건축가 제도가 도입된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영주시가 2009년 영주시를 시작으로 서울특별시(2012년), 세종특별자치시(2015년), 충남 부여군(2016년), 용인시(2018년), 부산시(2019년), 충청남도(2019년) 등이 도입하고 있다. 

영주시는 부시장 직속으로 도시경관 전문가 10~20명 정도로 도시건축관리단을 구성했고, 단장이 필요한 경우 공공건축가를 운영하고 있다.

도시건축단장은 △공공건축의 디자인 관리체계 정착을 위한 업무 수행 △디자인 관련 사업 총괄 및 조정 △디자인 관련 사업 자문 △공공건축 및 공공의 공간 관련 중앙부처 공모사업 발굴 등을 맡고 있다.

영주시는 공공건축가 제도로 영주 내일로센터와 중앙시장을 기획부터 디자인, 건축설계까지 총괄해 추진했다.

서울시도 제2부시장 직속으로 공공건축팀을 신설하고 공공건축가 48명을 위촉해 운영하고 있다. 

서울시총괄건축가는 △서울의 전력적 비전 확립 △역사 및 문화적 관점 도시공간 사업 기획 및 전개 △공공건축물 발주 고정 자문과 지원 △건축과 도시발전에 대한 전시 및 기획 등을 추진하고 있다.

서윌시는 총괄건축가 제도를 통해 '서울로 7017 프로젝츠'와 '노들섬 특화공간 조성사업' 등을 기획 및 자문했다.

제주도 역시 타 지역처럼 내년 총괄 및 공공건축가 제도를 통해 공공건축 기획 및 디자인, 설계 등에서 전문성이 강화되고, 예산집행 효율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