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장굴

도, 새로운 연대측정법 적용 도출
기존 30만년 형성시기 논란 종식

제주도가 새로운 연대측정 방법을 도입, 거문오름용암동굴계 형성시기를 도출했다.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본부장 고순향)는 새로운 제3의 연대측정법을 적용한 결과 만장굴을 비롯한 거문오름 용암동굴계가 약 8000년전에 형성된 사실을 재확인했다고 17일 밝혔다.

도 세계유산본부는 지난 4년간 거문오름 용암동굴계의 형성시기 논란을 해소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했다. 

거문오름 용암동굴계는 2000년대초 세계자연유산 등재 준비 과정에서 K-Ar(칼륨-아르곤) 연대측정 결과를 토대로 20만~30만년 전 형성된 비교적 오래된 용암동굴로 인식돼 왔다.

2016년 세계유산한라산연구원(현 세계유산본부로 편입)가 방사성탄소연대측정과 광여기루미네선스 연대측정을 통해 약 8000년전이라는 매우 젊은 연대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두 연대결과 사이에 차이가 크고 기존 화산암을 직접 분석하는 연대측정법(K-Ar, Ar-Ar 등)과 달리 용암류 하부의 고토양을 분석하는 새로운 연대측정법(방사성탄소연대 및 광여기루미네선스 연대)에 대한 학계의 신뢰가 크지 않아 거문오름 용암동굴계의 형성시기에 대한 논란이 지속돼 왔다. 

제주도 세계유산본부 한라산연구부는 세계자연유산 거문오름의 형성시기를 보다 명확히 밝히기 위해 제3의 연대측정법인 (U-Th)/He 연대측정법을 적용했다. 

이 방식은 헬륨(He)의 양으로 연대를 측정하며 한라산 일대 백록담, 삼각봉, 영실 등 주요 오름들의 영성시기를 밝히는데 활용됐다. 

만장굴 헬륨은 불활성 기체로, 약 200도 이상의 온도일 때 빠르게 암석(규암)에서 방출된다.

현재 만장굴내 용암에 박혀 있는 규암은 동굴 형성 당시 1150도에 달하는 용암과 접촉, 축적됐던 헬륨이 모두 방출되는 과정을 겪었다.

이후 용암이 200도 이하로 식은 후 유지된 시간 동안 규암에 새롭게 헬륨(He)이 형성되게 되는데, 그 양을 측정해 연대를 얻은 것이다.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된 거문오름 용암동굴계는 조천읍 선흘리와 구좌읍 송당리 경계지대의 거문오름에서 분출된 용암이 북동쪽 바닷가까지 흐른 길을 따라 형성된 동굴계다. 이은지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