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와 제주도가 30일 미래컨벤션센터에서 '제주특별자치도 해양공간관리 계획(안) 공청회'를 개최한 가운데 전문가들이 해양공관관리계획 안에 대해 토론하고 있다. 이은지 기자 

도·정부 30일 도해양공간관리계획 공청회 
향후 풍력단지 계획 미반영 차질 우려 제기

해양수산부와 제주도가 수립하는 '해양공간관리계획'이 도가 추진하는 CFI(Carbon Free Island 2030) 수정·보완계획과 일관성이 떨어져 사업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해양수산부와 제주도는 30일 미래컨벤션센터에서 '제주특별자치도 해양공간관리 계획(안) 공청회'를 열었다. 

정부는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무분별한 생태계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해양공간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국정과제로 '해양공간의 통합관리와 계획적 이용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해양 특성과 가치를 고려한 '선 계획 후 이용' 체제를 확립하는 것이 핵심이다. 

도와 정부는 해역 특성 등을 고려, 제주 해양공간(7793.9㎢)을 어업활동보호, 골재·광물자원개발, 에너지개발, 해양관광, 환경·생태계 관리, 연구·보전, 항만·항행, 군사 활동, 안전관리구역 등 9개로 구분해 관리한다는 계획이다. 

이날 공청회 토론에 나선 이상종 제주에너지공사 본부장은 "제주도는 2030년까지 탄소없는 섬을 조성하기 위해 모든 전기를 풍력과 태양광으로 공급하겠다고 선언했다"며 "신재생 에너지 전환에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바로 해상풍력"이라고 설명했다.

이 본부장은 "해양공간관리계획을 보면 해상풍력 단지를 조성하는 에너지개발구역은 월정, 탐라, 한림, 한동 등"이라며 "앞으로 1985㎿를 건설해야 하는데 해상풍력 단지 340㎿만 에너지개발구역으로 지정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해양공간 관리계획에 기존 풍력발전 지구 뿐만 아니라 향후 예정된 지구도 모두 반영해야 하는 등 기존 계획과 일관성을 유지해야 한다"며 "해양공간관리 계획은 고시된 이후 변경할 수 있지만 행정 절차를 밟아야 하기 때문에 지연된다면 카본프리아일랜드 계획에 영향을 미칠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은지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