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필 부국장대우 사회경제부장

지난달 26일부터 3개 태풍이 연달아 제주에 불어 닥치면서 크고 작은 상처를 남겼다. 다행이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재산피해는 상당했다. 

특히 지난 3일 제9호 태풍 '마이삭' 피해신고는 이날 기준 도내에서 776건이 접수됐다. 

이중 공공시설 피해로 가로수 97건, 신호등 35건, 중앙분리대 29건, 가로등 17건, 전신주 27건, 도로침수 22건 등 모두 279건이 발생했다.

민간시설 피해는 선박 8건, 차량 13건, 간판 133건, 지붕 51건, 태양광패널 22건, 육상양식장 7건, 창문 47건, 공사자재 12건, 배수지원 34건, 주택침수 19건, 주택 파손 25건 등 497건이나 됐다.

게다가 지난 2일 오전 9시43분부터 3일 오전 5시까지 도내 4만752가구에 전력 공급이 끊기는 등 정전사태도 발생했다. 

제주시 월대천 수위 상승과 병문천 하류 만조로 주민 대피령이 내려졌고, 물에 잠긴 차량에 갇힌 운전자 등 35명이 119에 의해 구조되기도 했다.

7일 제주를 빠져나간 제10호 태풍 '하이선' 피해도 속출했다. 

이날 오후 3시 기준 공공시설 74건과 민간시설 19건 등 93건의 피해신고가 접수됐다. 

제주시 한북로 일부 구간이 물에 잠겨 차량 통행이 통제됐으며, 서귀포시 표선면과 제주시 애월읍 일부 주택이 침수됐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태풍이 지나간 후 행정과 각급 기관·단체, 지역주민들이 피해복구에 동참하면서 제 모습을 찾아가고 있다는 점이다. 

태풍이 휘몰아치는 상황에서 위험을 무릅쓰고 구조 활동에 나선 소방공무원들의 노고도 빼놓을 수 없다. 

지난 2007년 태풍 '나리' 내습 이후 제주시 주요 하천 범람을 막기 위해 조성한 저류지도 피해를 줄이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다. 

하지만 이번에 제주를 휩쓴 태풍으로 인해 많은 문제점도 드러났다. 

평화로와 애조로, 제2산록도로 등 주요도로가 침수되면서 제 기능을 못했고, 하천 범람 우려도 여전한 것으로 지적됐다. 

하천 복개구조물 철거방안이 2009년 제주시가 수립한 하천기본계획과 2014년 제주도가 수립한 풍수해저감종합계획 등에 반영됐지만 겉돌고 있는 실정이다. 

한천 등 일부 복개구조물 철거는 추진되고 있지만 상가가 밀집한 산지천 복개구조물 등은 손을 대지 못하고 있어 재해예방의 허점으로 꼽히고 있다. 

환경부가 지난해 전국 하천유역 홍수량을 100년 빈도로 산정한 결과 제주시 지역 하천 홍수량이 과거보다 급증한 것으로 분석됐다. 

100년 빈도 하천 홍수량은 100년에 한번 가장 많이 내릴 수 있는 비의 양을 의미하는 것으로 제주시 27개 하천 중 26개 하천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룡소천과 광령천, 도근천의 경우 홍수량이 100% 이상 증가했고, 범람 피해가 우려되는 한천 역시 67%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병문천도 30% 늘어나는 등 범람 가능성이 과거에 비해 커졌다. 

태풍의 위력도 점차 강해지는 상황을 고려한다면 언제든지 하천 주변 주택과 상가 등이 침수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것이다. 

도내 주요도로도 잦은 침수 피해로 통제되거나 차량이 고립되는 사태가 계속 발생할 수 있어 대책이 절실해지고 있다. 

태풍 '마이삭'과 '하이선'보다 강력한 태풍에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주요 하천 주변과 주요도로 침수 피해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이 있는지 점검에 나서야 할 때다. 이를 통해 원인을 규명하고 재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당면 과제다. 

태풍이 지나갔다고 해서 재해예방에 손을 놓는다면 도민 안전을 보장할 수 없다. 태풍은 매년 발생하며 도민 생명과 재산을 위협하기 때문이다.

태풍은 또다시 찾아온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