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적정량 산정 최종보고회
2025년까지 연도별 목표 설정
ESS·제3연계선 준공 영향 주목
내년 상반기 제도개선 등 추진

서귀포시 표선면 가시리 태양광발전단지. 제주도 제공
서귀포시 표선면 가시리 태양광발전단지. 제주도 제공

풍력,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출력제어가 빈번해지자 제주도가 보급 속도를 제어한다. 

이를 위해 내년부터 2025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보급 설비 허가량을 총량으로 설정한다는 계획이다.

제주도는 15일 제주시 오라2동 제주연구원에서 '제주계통 안정화 방안 및 재생에너지 적정규모 산정 연구' 최종보고회를 열었다. 

8100만원을 투입한 이번 용역은 제주연구원이 지난 7월부터 이달 말까지 6개월 간 진행하고 있다. 

제주도는 지난 2012년부터 '탄소 없는 섬 제주 2030'(CFI 2030) 계획을 수립해 신재생에너지 보급 비율을 늘려왔다. 

오는 2030년까지 풍력과 태양광 등 4085㎿ 규모의 신재생에너지를 보급, 도내 전력수요에 100% 대응하는 내용이다.

제주도는 2021년 6월 기준 태양광 발전설비 435㎿, 풍력 발전설비 295㎿로 확대했다. 

제주지역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전기 총 발전량에서 신재생에너지 차지 비율)은 2011년 4.9%에서 2019년 14.3%, 2020년 19%로 늘었다. 

하지만 발전기를 강제로 멈춰 세우는 '출력제어' 명령이 잦아졌다. 

전력 과잉 공급으로 인한 전력계통 과부하로 대규모 정전사태(블랙아웃)가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풍력발전 출력제어는 2015년 3회에 불과했지만, 지난해에는 77회로 늘었다. 최근에는 태양광발전 출력제어까지 현실화했다.

제주도는 CFI2030 최대 난제인 출력제어를 완화하기 위해 재생에너지 적정규모를 산정, 내년부터 2025년까지 적용하기로 했다. 

제주연구원이 15일 제시한 CFI2030 계획과 재생에너지 적정량 산출 비교 결과 표.
제주연구원이 15일 제시한 CFI2030 계획과 재생에너지 적정량 산출 비교표.

제주연구원이 최종보고회에서 제시한 연도별 신재생에너지 적정 용량은 2022년 태양광 600㎿·풍력 431㎿, 2023년 태양광 702.2㎿·풍력 560㎿, 2024년 태양광 911.7㎿·풍력 865㎿, 2025년 태양광 1034㎿·풍력 1165㎿다.

당초 CFI2030 계획에서는 2022년 태양광 659.9㎿·풍력 975㎿, 2023년 태양광 780.3㎿·풍력 1015㎿, 2024년 태양광 911.7㎿·풍력 1075㎿, 2025년 태양광 1034㎿·풍력 1265㎿가 목표치로 설정됐다. 

신재생에너지 적정 용량 산출치는 CFI2030 계획보다 2022년 태양광 59.9㎿·풍력 544㎿, 2023년 태양광 78.1㎿·풍력 455㎿ 낮다. 

2024년부터 태양광 적정 용량은 CFI2030과 동일하고 풍력 적정량은 210㎿, 2025년 100㎿로 CFI2030 계획과 격차가 좁혀진다. 

200㎿ 규모의 에너지저장장치(ESS) 설치와 제주와 완도를 잇는 제3연계선(HVDC) 준공 시점인 2024년부터 재생에너지 수용량이 크게 늘 것으로 제주연구원이 분석했기 때문이다. 

이후 2026년부터는 태양광과 풍력 모두 CFI2030 계획 목표치대로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제주도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2022년~2030년 신재생에너지 적정 허가량을 설정하고 3㎿ 초과 태양광 발전 사업 인허가권 권한 이양 등 제도개선 등을 내년 상반기부터 추진할 계획이다. 

다만 총량 산정 기준을 총 허가량으로 할지, 풍력과 태양광을 구분해 설정할 지 고민하고 있다.

향후 총량제 도입으로 예상되는 피해규모도 산출한다는 방침이다. 

이밖에 전력계통 안정화 방안으로 제시된 전력거래자유화를 골자로 한 분산에너지특구 지정, 그린수소 생산 확대, 전력사용량이 큰 데이터센터 유치 등 도입을 검토한다. 이은지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