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현 편집국장

예전 제주지역은 상대적으로 무소속이 강세였지만 이번 도의원 선거 후보중 무소속이 1명일 뿐일 정도로 정당선거가 정착되고 있다. 결국 제주정치가 올바른 길을 가기 위해 도내 정당들이 역량과 도덕성을 키워야 한다.

6월 1일 치러지는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와 제주시을 국회의원 보궐선거가 이제 2주 정도밖에 남지 않았다. 지방선거 및 보궐선거 후보등록이 지난 13일 마감하면서 각 선거구별로 대결구도가 확정됐다. 본선에 오른 후보들은 본격적으로 선거운동에 나설 채비를 하고 있다.

그동안 제주지역 선거에서는 정당정치보다는 학연·지연·혈연 중심의 지역색이 강했고, 이 때문에 상대적으로 무소속의 비중이 높았다. 특히 지역과 상대적으로 밀착된 지방선거 특히 지역구 단위가 작은 도의원 선거일수록 혈연·학연·지연 등이 강했고, 이 때문에 무소속 후보 비중이 컸다. 하지만 이번 지방선거에서는 무소속을 거의 찾아볼 수 없고, 대부분 후보들이 정당소속으로 출마하고 있다. 

제8회 지방선거 도의원 선거에는 제주시 선거구에 45명, 서귀포시 선거구에 20명 등 모두 65명의 후보가 확정됐다. 이중 무소속으로 출마하는 후보는 단 1명 뿐이다. 대다수의 후보는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양대정당 소속이며, 정의당과 민생당 후보도 일부 포함됐다.

2018년 치러진 제7회 지방선거 도의원 선거에서는 상대적으로 무소속 후보가 많았다. 도의원 선거 후보자 73명 중 무소속이 20명에 달했다. 당시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여파 등으로 당시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을 탈당했던 정치인들이 무소속으로 출마했기 때문이다. 

이보다 더 앞서 2014년 치러진 제6회 지방선거에서는 전체 도의원 후보 72명 가운데 무소속은 15명인 것을 감안하면 굳이 박 전 대통령 탄핵여파가 아니더라도 제주지역 지방선거에서 무소속 출마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제주지역 유권자들이 더 이상 지역색과 인물론에 좌우되지 않고, 소속 정당을 우선으로 선택하는 경향이 높아졌다. 예전에는 정당후보로 선택받지 못한 인사들이 반발해 무소속으로 출마한  경우도 적지 않았지만 이번 선거에서는 대부분이 결과에 승복하고 있다.

예전에는 제주지역이 무소속이 강한 지역으로 인식이 됐었다. 1992년 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제주지역구 3석 모두 무소속 후보가 당선됐었다. 

제주도지사 선거역시 2006년과 2010년 연속으로 무소속 후보들이 거대 정당 후보를 누르고 잇따라 당선됐다. 2018년 치러진 제7회 지방선거는 대통령 탄핵이라는 특수성은 있지만 무소속인 당시 원희룡 후보가 당선됐다.

하지만 2004년 17대 총선부터 민주당계 소속 후보들이 석권하면서 무소속 당선자는 사라졌다. 예전에는 지역에 밀착한 사람이 아니면 표를 주지 않던 제주유권자들이 최근 지역색이 약해도 지지정당이 전략공천하는 후보면 투표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번 제주도지 선거 여론조사 추이를 보면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후보간 2강 체제가 확고히 굳혀졌다. 또한 제주시을 보궐선거 역시 정당후보간 양강구도로 흐르고 있다.

제주지역이 괸당정치에서 정당정치로 전환되는 것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가 크다. 좁은 시야에서 벗어나 더 큰 이익을 위해서는 중앙정치와 정당과 협력도 강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주가 선진정치로 가기 위해서는 정당정치로 정착돼야 하는 것도 맞는 부분이다. 단, 정당정치가 굳어질 경우 후보 개개인의 자질과 능력, 도덕성을 보기보다는 소속 정당만 보고 뽑는 '묻지마 투표'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결국 정당이 후보결정 과정에서 철저하게 인물검증과 평가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번 지방선거는 제주지역의 정당정치가 정착되는 기회가 될 것이다. 그 만큼 도내 정당의 역할과 책임이 더욱 커지는 만큼 그에 걸맞는 역량과 도덕성을 키워주길 바란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