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살림제주, 연구보고 및 토론회
나눔냉장고 누적 6843가구 이용
취약·차상위계층 경계 관계 부재
주민자치센터 소극성 등 문제로

한살림제주소비자생활협동조합, 한살림제주모심회는 14일 제주도의회 도민카페에서 '한살림제주 먹거리돌봄 사업 연구보고 및 토론회'를 개최했다. 김재연 기자
한살림제주소비자생활협동조합, 한살림제주모심회는 14일 제주도의회 도민카페에서 '한살림제주 먹거리돌봄 사업 연구보고 및 토론회'를 개최했다. 김재연 기자

코로나19 이후 생활고를 겪고 있는 제주지역 취약계층 등을 위해 추진된 먹거리돌봄 사업이 많은 성과를 거뒀지만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 시작과 진행 과정에서 나눔 대상자 발굴에 어려움을 겪는 등 문제가 드러났기 때문이다.

한살림제주소비자생활협동조합, 한살림제주모심회는 14일 제주도의회 도민카페에서 '한살림제주 먹거리돌봄 사업 연구보고 및 토론회'를 개최했다.

지난해 제주시 주민참여예산과 제주시소통협력센터의 지원을 받아 진행된 한살림제주 먹거리돌봄 사업은 취약계층의 건강성 회복과 지역주민의 건강한 식생활 문화 확산을 위해 추진됐다.

사업 결과 지난해 952가구를 대상으로 18회에 걸쳐 반찬 나눔이 이뤄졌다.

또 지역 어르신들이 직접 가꾸는 공동체텃밭 등을 통해 수확된 농산물이 담기는 나눔냉장고(노형동 3대·원도심 2대)를 이용한 가구 수가 누적 6843가구에 달하는 등 건강한 먹거리 전달에 힘을 보탰다.

이와 함께 진행된 식생활 교육에 참가한 인원도 취약계층, 지역주민 등을 포함해 모두 215명에 이른다.

실제 사업 기간 취약계층들이 스스로 생산한 농산물을 또다른 취약계층들에게 기부하고, 소통도 하며 다양한 연결망을 만들어냈다. 이번 사업의 주제라고 할 수 있는 '서로 돌봄'을 실천하며 연결된 이들만 7796명이다.

하지만 넘어야 할 산은 많다. 취약계층이나 차상위계층이 아닌 경계에 있는 이들이 사회 속에서 드러나지 않고 있어서다.

지역사회와의 관계 부재 등으로 나눔 대상자 선정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사업이 3개월 이상 늦게 시작되기도 했다.

인력 및 예산 한계로 인한 주민자치센터의 소극성, 먹거리 기부처 부족, 복잡한 먹거리 전달체계 등도 문제로 꼽히고 있다.

이날 발제에 나선 김자경 한살림제주 이사는 "먹거리돌봄의 의미에 대한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며 "얇지만 여러겹으로 지원하는 방식의 복지 제도를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재연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