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호>한나라 이명박 대세론…원희룡 가세 등 4자구도 재편
열린우리 잠재후보군 건재…정계개편·국민경선·40대표심 최대변수

바야흐로 대선(大選)의 계절이 시작됐다.

대한민국호(號)의 항로를 결정할 17대 대통령 선거(12월19일)전이 길고 긴 대장정에 돌입했다. 앞으로 350여일 후면 97년 15대 대선에서 정권교체를 이뤄낸 진보세력이 장기집권체제로 나아갈지, 보수세력이 10년만에 정권을 되찾을지 결정된다.

노무현 대통령의 임기는 2008년 2월까지 1년2개월이나 남았지만 5년 단임제의 운명이 그러하듯 레임덕을 피할 수 없게 됐다. 대권주자들의 움직임도 벌써부터 심상치 않다.

여당은 후보들의 낮은 지지율에, 야당은 후보들간 과당 경쟁에 골머리를 앓으며 정계개편과 후보간 합종연횡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대선 해를 맞아 선거구도와 이슈 및 변수 등을 중심으로 향후 대선 전망을 짚어본다.
 
△최대 이슈는 경제와 안보

부동산과 일자리 창출, 21세기형 신성장 모델 등 경제 문제가 최대 이슈가 될 것이라는데 이견이 없다.

지난 대선때 가장 큰 이슈였던 북한문제가 이번 대선에서는 경제에 밀려나면서 설득력있는 경제 해법을 제시하는 후보가 큰 점수를 얻을 공산이 크다.

노 대통령이 이념적 이슈를 바탕으로 대통령에 당선됐으나, 현재는 국민 체감경기가 나아지지 않은 상황에서 유권자들이 경제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

하지만 북한 핵실험으로 형성된 한반도 안보 위기와 한미동맹 등 안보문제도 간과할 수는 없다. ‘뜨거운 감자’로 대두된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비정규직 대책, 조세 및 교육정책 개선, 지역구도 문제 등도 대선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관측된다.

△한나라당 빅3+a 다자구도

이른바 ‘빅3(이명박 전 서울시장, 박근혜 전 대표, 손학규 전 경기지사)’간 치열한 경쟁구도를 펼쳐지고 있다.
현재까지는 각종 여론조사에서 고공행진중인 이명박의 대세론이 힘을 발휘하는 형국이다. 하지만 한나라당에도 서서히 잠룡들이 기지개를 켜고 있다.

당장 소장파 대표주자이자 최고위원을 지낸 제주출신 원희룡 의원이 수면위로 떠오르면서 4자 대결구도로 재편되고 있다. 여기에다 3선의 권오을 의원, 김태호 경남지사, 고진화 홍준표 박진 의원 등이 잠룡으로 거론되고 있다.

이 같은 다자체제는 97년의 ‘9룡 쟁투시대’와 견줄만 하다. 그러나 경선 다자구도가 한나라당 대선에 유리하게 작용할지는 미지수다. 예선리그를 흥행으로 이끌 수는 있겠지만 자칫 ‘보수·수구 이미지 강화’와 ‘함량미달 시비’가 일 경우 경선 자체를 희화화시킬 가능성도 있다.

또한 정계복귀 초읽기에 들어간 이회장 전 총재의 경선 출마는 예기치 못한 핵심 변수가 될 수 있다.  

△‘선언’ 임박한 열린우리당 잠룡

당 지지율이 곤두박질했지만 ‘제2의 노풍(盧風)’을 꿈꾸는 여권 잠룡들은 여전히 건재하다.

하지만 김근태 의장과 정동영 전 의장 등 기존의 대권주자들의 주가가 떨어지면서 용과 잠용의 구분이 애매한 상황이다.

잠재 주자로는 천정배 김부겸 김혁규 의원과 김두관 전 최고위원이 거론된다. 하지만 이들의 지지율은 초라한 한자릿수에 그치고 있다.

그나마 범여권 후보로 고건 전 총리가 고군분투하고 있다. 유시민 보건복지부 장관, 이해찬 전 총리, 강금실 전 법무부 장관, 정운찬 전 서울대총장 등도 잠재 후보군이다.

그러나 통합신당파와 친노파(당 사수파)간 관계가 강경일변도로 진행되면서 여당의 처지는 그야말로 ‘난파선’에 가깝다. 그렇다고 ‘장외 블루칩’으로 꼽히는 고건 전 총리의 영입이나 민주당과의 합당도 여의치 않다.

이 같은 정황으로 볼때 97년 DJP연대나 2002년 노-정 후보단일화와 같은 ‘후보 단일화 게임’이 재현될 가능성이 크다.

이와 함께 무풍지대로 여겨지는 군소정당의 경우, 민주당은 추미애 전 의원 등이, 민노당은 권영길 심상정 노회찬 의원 등이 잠룡으로 거론되고 있다.    

△정계개편 시나리오 ‘백가쟁명’

정계개편에 대한 시나리오는 다양하다.

민주개혁대연합론, 범보수연합론, 중도세력통합론, 중도보수연합론, 통합신당론, 제3당 창당론 등 가히 백가쟁명(百家爭鳴)이다. 여권발 정계개편론은 크게 두가지. 노 대통령을 안고 가느냐, 떨치고 가느냐 하는 것이다.

즉 친노파들의 ‘영·호남 통합 대연정론’과 통합신당파의 ‘반 한나라 민주개혁세력 연합론’이 각각 ‘노무현-이명박 또는 손학규’ 연합론과 ‘열린우리당-민주당(고건 신당 창당)’ 통합을 모색하는 것이다.

한나라당의 정계개편은 뉴라이트 연합과 민주당과의 통합까지 아우른 범보수(우파)연합론이다. 과거 민자당식 ‘3당 합당’과 흡사하다.

결론적으로 여든, 야든 어느 한쪽의 정계개편이 성사될 경우 대선전을 뒤흔들 큰 변수가 될 것이 자명하다.

△오픈프라이머리 변수

16대 대선에서 노무현 후보가 ‘이인제 대세론’을 뒤집고 여당 대선후보로 당선된 것은 ‘국민경선’때문이었다.

국민경선(당원 50%,국민 50%)의 민심 반영률이 절반인데 비해 오픈프라이머리는 후보 선출권을 100% 국민에게 주는 개방형 국민참여 경선제다.

열린우리당은 이를 통해 국민의 관심을 최대한 끌어올린 뒤 한나라당에 열세인 대선레이스에서 역전의 발판을 만들겠다는 복안이다.

대선을 앞두고 절박한 입장인 우리당에선 오픈프라이머리를 최후의 카드로 기대하는 분위기다.

한나라당도 후보간 의견차가 있긴 하지만 오픈프라이머리 도입 문제가 논의되고 있다. 고건 전 총리도 별도의 신당 창당보다는 제3지대에 헤쳐모여식 통합신당이 창당되면 오픈프라이머리에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 만큼 오픈프라이머리가 전면 도입되면 대선전은 엄청난 변화가 불가피하다.

또다른 변수는 40대와 50대의 선택이다. 특히 전문가들은 16대 대선처럼 올해 대선도 40대 표심이 당락을 결정할 것으로 보고 있다.

각 후보진영이 40,50대에 공을 들이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와 함께 김대중, 김영삼 전 대통령과 김종필 전 자민련 총재 등 지역을 기반으로 한 거물급 정치인들의 행보도 대선정국에 적잖은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다. <청와대=이태경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