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도의회 4·3평화재단 정책토론회서
분산된 사료 통합과 체계적 정비도 필요

▲ 제주도의회 행정자치위원회와 4·3평화재단의 4·3공동정책세미나가 22일 도의회에서 '새정부의 4·3해결과제 및 4·3기록물 유네스코 기록유산 등재'를 주제로 열렸다.
4·3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해서는 분산된 4·3사료의 정리 작업과 제주4·3의 세계사적 의미 정리가 관건이 될 것이라는 의견이 나왔다. 
 
제주특별자치도의회 행정자치위원회·제주4·3평화재단의 4·3정책세미나가 22일 도의회에서 열린 가운데 안종철 전 5·18기록물유네스코등재추진단장은 "분산된 자료를 한곳에 일정하게 통합시키고 체계적으로 정비하는 '사료의 정리작업'이 시작"이라고 밝혔다. 
 
안 전 단장은 이어 "4·3사건과 비슷한 성격의 세계기록유산 신청서를 수집, 끊임없이 고민해야 하고, 특히 세계사적 의의 부분이 가장 중요하다"고 밝혔다. 아울러 유네스코 한국위원회의 도움, 심사위원과의 네트워크, 반대운동에 대한 대비 등 세계기록유산 등재에 따른 현실적 대책도 주문했다. 
 
토론자로 나선 허권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교수 역시 "유네스코 기록유산사업의 기본정신은 보존과 접근으로, 각종 이유로 사멸위기에 처한 소중한 유산을 잘 보존하고 후대에 전달하는 일"이라며 "사건의 가치를 국지적 차원이 아닌 세계문명의 흐름이라는 커다란 틀 속에서 고찰해야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김재순 국가기록원 학예연구관은 "제주4·3기록물이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다면 기록물의 가치와 품격을 드높이는 일이 될뿐만 아니라 세계사의 지평에서 제주4·3사건이 갖는 역사적 의미를 재조명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세계기록유산 신청서의 핵심내용은 어떤 기록물로 구성되고 어떤 독창적 특징을 지니며 세계사적으로 어떤의미와 중요성을 갖는가"라며 세계사적 의미로 "유사이래 한반도에서 가장 평화로웠던 섬 제주도, 후발 제국주의국가로서 태평양 전쟁수행을 위한 일본제국주의의 잔혹한 억압과 수탈, 2차 세계대전 후 미소냉전 신질서 형성과 좌우이데올로기 충돌, 평화의 섬 제주도 양민들의 무고한 희생, 이 세계사적 비극을 증거하는 기록물과 그 역사적 교훈으로 초점을 맞출수 있지않나"고 제안하기도 했다. 
 
이에 앞서 고창훈 제주대 교수는 '4·3문제 해결을 위한 새정부의 역할과 과제'를 통해 "도의회가 '완전한 제주4·3의 해결과 세계평화의섬 정신 정립을 위한 제주4·3특별위원회(가칭)를 설치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특히 고 교수는 "위원회는 △국가적 추념의 원리 △4·3희생자에 대한 단계적 배상의 원리 △국제적 해결의 원리 △ 4·3평화교육의 원리 등 4가지 원리에 입각해 이를 실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미라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