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민 포커스 / 포화 위기 맞은 도내 매립장·소각장

▲ 제주특별자치도가 회천매립장 포화 및 북부광역소각장 기간 만료 등으로 인해 쓰레기 처리 대란이 예고되고 있지만, 행정의 대응은 느긋하다는 지적이다. 사진은 내년 7월 포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제주시 회천쓰레기 매립장에서 중장비를 이용해 매립하는 모습. 강승남 기자
회천매립장 포화 초읽기
광역소각장 5년 후 만료
입지선정 늑장 너무 느긋
 
도내 폐기물을 처리하는 회천매립장 및 북부광역소각장의 포화가 임박, 대책 마련이 시급하지만 행정은 너무 느긋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예고된 문제임에도 불구, 뒤늦은 행보로 사실상 쓰레기 처리 대란을 행정이 자초하고 있다는 지적마저 나오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제주시 동 지역 등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처리하는 회천매립장의 전체 매립용량은 188t이지만 현재 잔여 매립가능량은 8만890t에 불과하다.
 
더욱이 쓰레기 반입량이 매해 증가하면서 내년 7월이면 포화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제주시 동 지역과 동부지역, 서귀포시 동부지역의 가연성 폐기물을 처리하는 북부광역소각장 역시 진단결과 2018년이면 내구연한이 다 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설상가상 북부광역소각장은 이미 1일 쓰레기 반입량이 처리용량을 넘어서면서 연일 몸살을 앓고 있다.
 
이처럼 북부광역소각장이 처리능력을 넘어선 데다 내년 회천매립장의 포화가 임박했지만 사실상 현재까지 대책은 수립되지 않은채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당장 내년부터 쓰레기 처리 대란이 현실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는 대목이다.
 
반면 행정의 대응은 소걸음이다. 회천매립장의 포화는 '예고된 문제'이지만 폐기물처리입지선정위원회는 올 1월에야 구성됐다. 위원회 선정 작업부터가 늦었다는 지적 속 구성에만 5개월이 걸린 데다 이달에야 전략환경영향평가에 돌입했다. 순항한다 하더라도 대체부지는 내년 1월에야 선정된다.

더욱이 부지 선정 후 절차 및 공사기간 3~4년을 감안하면 2016년께나 준공, 쓰레기 처리 대란에 대한 우려가 불가피한 실정이다.

이에 일각에서는 제주도가 쓰레기 처리 대란이 예측됨에도 불구, '님비(NIMBY·not in my backyard)'가 불가피한 폐기물처리시설이라는 점에서 눈치보기식으로 사업을 추진했기 때문 아니냐는 지적마저 나오고 있다. 박미라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