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민포커스] 여름 피서객 수용태세 이대로 좋은가

제주지역 해수욕장 개장이 다가오고 있으나 안전을 담당한 인력을 충원하지 못하면서 안전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제주시는 안전요원 확보가 안돼 개장시기도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 사진은 5일 이호테우해변을 찾은 관광객들.

제주시 135명 모집결과 신청자 120명 불과 결원사태
개장시기 결정 차일피일…서귀포시도 인력 확보 난항

지난해부터 '해수욕장의 이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개정에 따라 해경에서 지자체로 해수욕장 안전관리 업무가 이관됐지만 안전관리 공백이 메워지지 않고 있다. 해경을 대신해 안전을 책임질 전문인력을 확보하지 못해 쩔쩔매는가 하면 준비 소홀로 개장시기가 연기되는 등 한계를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안전관리 공백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됐음에도 제주도의 늑장 대응은 여전, 이용객들의 불안감을 키우고 있다는 지적을 면치 못하고 있다.

△구인난 반복…현장 대응력 의문

올 여름에도 해수욕장 안전관리가 '발등의 불'이다. 

제주시에 따르면 지정해변 7곳과 비지정 해변 9곳에 개장기간 물놀이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 필요한 해경·소방 등 지원 인력을 제외한 민간안전요원은 모두 135명이다.

제주시는 인명구조와 간호·보건 자격증 소지자에 한해 지난해(104명)보다 31명을 늘려 두차례에 걸쳐 모집했지만 지난 3일 마감결과 120명만 지원했다.

서귀포시는 지정해변 4곳에 투입될 민간안전요원 25명(지난해 15명) 중 지난 3일 기준 24명을 채용했으며, 오는 15일까지 추가 간호·보건인력 8명을 채용할 예정이지만 현재 단 1명도 확보하지 못한 상태다.

이처럼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예비인력은커녕 전문인력조차 제때 확보하지 못하면서 해수욕장 개장이 늦춰지고 있다.

서귀포시는 다음달 1일 개장을 확정한 반면 제주시는 당초 오는 17일 개장을 목표로 민간안전요원을 뽑았지만 미달되면서 아직까지 개장시기를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

더 큰 문제는 민간안전요원 90% 이상이 대학생들로 충원돼 사전에 충분한 교육·훈련이 이뤄져야 하지만 제주해경에 위탁한 훈련일정은 고작 2일에 불과해 전문성과 현장 대응력을 담보하기도 어렵다.

여기에 해수욕장 운영 기간에 이안류 발생이나 해파리 쏘임사고 등 위험요소가 산재, 상황에 따른 유관기간 합동 훈련이 필요하지만 이 역시 계획조차 세우지 못한 실정이다.

제주도 차원의 해경·소방 등 유관기관 회의도 지난달 23일에야 처음으로 진행되는 등 안일한 대응이 사태를 키웠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개장 전 피서지 안전 사각지대

이른 더위로 해수욕장을 찾는 도민과 관광객들이 늘고 있지만 개장 전이나 비지정 해변에 대한 안전관리 대책은 허술, 여전히 안전 사각지대에 놓이고 있다.

제주시는 지정해변 외 비지정 해변 9곳에 민간안전요원 36명을 투입할 예정이나 이는 개장 후에야 배치되는 인력이다.

지정·비지정 해변 모두 개장 전에는 민간안전요원이 투입되지 않을 뿐더러 읍·면·동이나 마을주민을 활용한 안전관리 방안조차 수립되지 않은 상황이다.

서귀포시는 현재 읍·면·동에서 채용하고 있는 전문 자격증이 없는 11명 외에 비지정 해변 2곳에 대한 전문인력 투입 계획 자체가 없다. 

또 개장 전에는 지정 해변에만 읍·면·동에서 뽑은 마을주민 8명을 활용해 오는 9일에야 각각 2명씩 투입된다.

결국 이대로라면 물놀이객들의 안전 보장도 어려운데다 수난사고때 이용객 책임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는 등 총체적인 해수욕장 안전관리 부실을 드러내고 있다.

해운대의 경우 지난 1일 개장한데다 도내 해수욕장 이용객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상황을 감안할 때 6월전 전문인력 채용을 통한 조기개장 방안 마련과 함께 체계적인 안전관리 대책수립이 요구되고 있다.

제주시·서귀포시 관계자는 "자격 소지자는 많지만 근무기간이 2개월로 한시적인데다 각자 직업이 있어 채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개장 전에는 현수막을 내걸어 물놀이 자제를 당부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