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서귀포시 자원화시설 처리능력 대비 초과 반입
감량기 보급사업에도 역부족…민간위탁 등 대책 필요

제주도와 행정시가 가정과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음식폐기물 처리를 위한 각종 대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음식폐기물 자원화시설 안정화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지난 수년간 음식폐기물 감량기 보급사업을 추진하는데도 불구하고 자원화시설 처리능력 초과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어 2022년 신규 광역처리시설 조성 전까지 음식폐기물 처리난이 지속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도는 서귀포시 색달동 매립장 인접 도유지 3만4737㎡에 국·도비 1000억원을 투입하는 광역음식폐기물처리시설 조성방안은 추진하고 있다. 

만약 이 사업이 정상적으로 추진된다면 내년 실시설계를 거쳐 착공해 2022년 완공하게 되며, 1일 음식폐기물 390t 처리가 가능해진다. 

문제는 광역음식폐기물처리시설 조성 전까지 음식폐기물 처리난이 지속될 것이라는 점이다. 

현재 일반 종량제봉투에 음식폐기물을 혼합 배출하는 읍·면지역을 제외한 도내 동지역 음식폐기물 1일 발생량은 제주시 150.7t, 서귀포시 64.8t 등 215.5t이다. 

하지만 도내 음식폐기물자원화시설 1일 처리능력은 제주시 봉개동 110t, 서귀포시 색달동 46t 등 156t에 불과한 실정이다. 

도가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음식폐기물 다량배출사업장 1400곳 중 564곳에 음식폐기물 감량기를 보급했지만 자원화시설 처리능력 초과 반입 문제가 해소되지 못하고 있다.

때문에 음식폐기물 자원화시설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이 절실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행정시가 직영하는 지금의 시스템으로는 음식폐기물 자원화시설의 실질적인 가동시간이 5∼6시간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되는 만큼 민간위탁 방식을 통해 가동시간을 늘리는 등 효율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도 관계자는 "음식폐기물 자원화시설이 민간위탁 운영방식으로 전환될 경우 가동시간이 연장되는 등 장점이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앞으로 다각적인 대책이 논의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