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오염의 주원인이 되고 있는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는 최근 지방자치단체들이 안고 있는 현안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한 음식물 쓰레기의 자원화 등 효율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토론회가 최근에 있었다. 특히 이번 토론회에 관심이 모아졌던 것은 지방자치단체와 환경단체가 공동으로 개최한 점도 그렇지만 쓰레기 처리에 있어서는 우리보다 앞선 것으로 알려진 일본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실태가 함께 발표됨으로써 초보단계인 우리와 비교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아쉽게도 우리가 궁금했던 일본의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 부분이나 구체적인 처리실태에 있어서는 발표가 미흡했다고 본다. 다만 일본은 음식물 쓰레기에 의한 환경오염의 심각성을 일찍부터 인식하고 수거용기를 자치단체가 정책적으로 구입, 보급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10여년전부터 자원화에 들어갔다는 것이다. 수거용기만 하더라도 이용하고 싶은 사람이면 거의 대부분에게 보급이 완료됐다고 한다.

우리 제주지역은 어떤가. 제주시를 예로 들면 하루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량은 89톤에 이르고 있으나 자원화량은 13.2톤으로서 전체의 14.8%에 불과한 실정이다. 물론 이같이 낮은 재활용률을 높이려면 수거장비와 처리시설을 늘리는 등 예산의 뒷받침이 있어야 한다. 또한 토론회에서도 집중 거론됐듯이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처인 가정과 음식점이 이를 줄이려는 체계적인 노력도 동시에 전개돼야 한다.

그러나 보다 근본적인 것은 현재의 처리시스템을 개선해나가는 것이다. 음식물 쓰레기는 버리면 환경오염의 주요 원인이 되지만 활용하면 동식물의 퇴비와 사료로 훌륭히 쓸 수 있다는 게 이번 토론회에서도 입증됐다. 환경을 오염시키는 사실을 뻔히 알면서도 처리시설 투자에 인색한다거나 자원화를 외면한다면 결국 국가적인 낭비이다. 그래서 음식물 쓰레기를 다른 쓰레기와 혼재해서 버리는 현재의 방법도 과감히 개선해야만 한다. 2005년부터는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매립이 금지되고 있는 만큼 도출된 문제 개선은 서둘러 추진해야 한다.

제주시가 음식물 쓰레기의 재활용률을 올해안에 40%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세운 것으로 알려져 기대가 크다.<<끝>>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