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귀포 원도심(자료사진).

제주연구원 이성용 연구위원 3일 연구 보고서 '성장 관리' 주문
강정택지개발지구 효과 대천동 중심성 부쩍…행정구역 기준 한계

지난해 서귀포시 순전입 인구 규모가 제주시를 앞섰다. 제주 읍·면·동이 저성장 또는 쇠퇴기에 접어든 상황을 감안할 때 미래 예측을 전제한 관리 중심의 도시계획을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다.

제주연구원 이성용 연구위원은 3일 '제주지역 생활권 분석 및 생활권 활성화 전략 연구' 보고서를 통해 도시계획이나 기반시설 정비 계획 등이 현실성을 확보하기 위해 행정구역 기준이 아닌 생활권 계획 도입을 서둘러야 한다고 제안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제주 지역의 인구는 최근 몇 년 사이 급격한 증가세를 보였다. 대부분 인구유입이 제주시 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되던 상황은 지난해 서귀포시로 기울었다.

2010년 이후 서귀포시에서 제주시로 주소를 옮기는 사람은 한해 많게는 1883명(2011년)에 이르는 등 순유출을 이어갔다.

하지만 2014년 912명만 빠져나가는 등 세자리수에 들어간데 이어 2015년 486명, 2016년 449명으로 감소폭을 줄이다 지난해 159명이 순유입하는 역전 현상을 보였다. 이동 사유 중 직업이 가장 많았고, 건강과 교육, 주택이 그 뒤를 이었다.

도내에서 전출·입이 활발한 지역은 제주시 이도2동이었고 이어 연동과 노형에서 중심성이 높게 나타났다. 서귀포시 대천동이 그 뒤를 이으며 최근의 변화를 반영했다. 대천동의 최근 5년간 연평균 인구 증가율은 3.36%다. 노령화지수도 115.38로 전체 43개 읍·면·동 중 19번째다.

강정택지개발지구 지역을 포함하고 있어 대규모 신규 주택 공급이 이뤄진데다 공동통학구역으로 지정되는 등 학령기 자녀를 둔 도민은 물론 이주민의 선택을 받은 것이 영향을 미쳤다. 이로 인해 공간구조에도 변화가 나타났다는 것이 이 연구위원의 분석이다.

이어 "지역별로 인구유입 등 환경변화가 크게 나타나면서 도시계획 체감도가 떨어지는 등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며 "2025년 도시기본계획 상주인구 75만명에 근거한 생활권 배분 및 생활권별 기반시설의 확충은 도시성장 관리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