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징후 한반도 곳곳서 감지…'안전지대' 방심 금물

제주지역 발생 빈도 지속적으로 증가…고령사회 진입 등 위험 요소 존재
지진시 공항만 폐쇄·불안감 고조 등으로 관광산업 침체 등 2차 피해 우려
일본 등 주변지역서에서 쓰나미 도달 가능성 상존…"경각심 갖고 대비해야"

최근 이른바' 불의 고리'로 일컫는 환태평양 지진대에 속한 일본, 필리핀, 인도네시아, 대만, 미국 알래스카 등에서 화산이 폭발하고, 대규모 지진이 연쇄적으로 발생하는 등 전 세계적으로 불안감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유례없던 강진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면서 지진 문제가 관심사로 부각하고 있다. 제주도 역시 지진 안전지대로 여겨져 왔지만 제주 주변에서는 지진 발생빈도 증가, 지진 발생이 잦은 일본과 인접한 지정학적 위치 등으로 지진 피해 최소화를 위한 대비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제주지역 2.0 이상 지진 진앙지(1986~2016).

△연평균 100건 육박
우리나라에서 지진을 관측하기 시작한 시기는 1978년이다. 이후 2000년까지 연평균 20회의 지진이 발생했고, 2001년부터 2015년까지는 연평균 48회 발생했다. 발생빈도는 2배 이상 늘었고, 지진 규모도 2.0에서 5.0을 넘어서는 등 강해지고 있다. 특히 올해 들어서도 지난 9월말까지 한반도에서 관측된 규모 2.0 이상의 지진은 모두 87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지진에 대한 불안감이 적잖은 상황이다.

특히 2016년 경주 지진과 2017년 포항 지진은 국민들에게 지진에 대한 경각심을 갖게 하는 계기가 됐다.

2016년 9월 12일 경북 경주시 남서쪽 8㎞ 지점에서 발생한 경주 지진은 규모가 5.8에 달했다. 한반도에서는 이례적인 강진이었다. 경주 지진으로 인해 경주, 경상도, 충청도, 울산, 부산, 강원도, 서울, 제주도 등 전국 각지에서 지진이 감지됐다.

또 본진 발생 후에도 400여회 이상의 여진이 발생함에 따라 주민들의 불안감이 악화됐다. 경주 지진으로 건축물 파손, 돌담 붕괴를 비롯한 울산화력발전소, 월성원자력발전소 등 가동 중지, 도시철도 중단, 일부 건물의 대피령 발령, 문화재 파손 등의 피해가 발생했다. 부상자도 48명이었고, 재산피해는 107억원이다. 

경주 지진의 불안감이 채 가시기도 전인 2017년 11월 15일에는 경북 포항시 북구 북쪽 7.0㎞ 지점에서 규모 5.4의 지진이 발생했다. 당시 이재민은 1392명(544세대)으로 집계됐고, 재산피액액은 550억5700만원이다. 포항지역은 지질학적으로 지반이 약한 퇴적층으로 이뤄져 있고, 본진의 발생 깊이가 지표면의 3~7㎞ 아래에서 발생하는 등 지진에너지의 감쇄효과가 적게 나타난 것으로 조사됐다. 경주 지진에 비해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음에도 불구하고 피해 규모가 큰 이유다. 또 진원지와 가까운 포항시 북구 흥해읍 지역은 인구 밀도가 높은 구도심지역으로 피해가 더 컸다.

경북 포항의 흥해초등학교가 2017년 11월 발생한 강진으로 건물 외벽이 무너져 내렸다.

△제주 안전지대 옛말
제주지역은 대표적으로 지진 안전지대로 인식돼 왔다. 그런데 최근 들어 지진 발생빈도가 점차 늘면서 철저한 대비가 요구되고 있다.

실제 제주지방기상청 등에 따르면 제주에서 관측된 지진은 2012년 3건. 2013년 5건, 014년 7건,2015년 8건, 2016년 11건, 2017년 13건이다. 올해 들어서도 10월 21일 현재 5건이 발생했다. 올해 첫 번째 지진은 지난 4월 23일 오후 1시10분께 서귀포시 서남서쪽 16㎞ 해역에서 2.4규모로 발생했다. 가장 최근은 9월 25일 오전 4시5분께 제주시 서쪽 68㎞ 해역에서 규모 2.5의 지진이다. 

제주지역 지진은 과거에도 종종 있었다. 역사문헌에 따르면 1455년 제주의 대정·정의현 일대에  일대에서 지진이 발생해 민, 봉화대 등이 무너져 죽은 자가 발생했다는 기록이 있다. 또 1670년에도 지진이 발생해 담벽이 무너지거나 기울었다는  지진이 발생하여 담벽이 무너지거나 기울었다는 기록이 있다.

특히 제주는 지진 다발 국가인 일본과 인접해 있어 지진해일(쓰나미) 피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제주지역의 지진해일 피해 사례는 제주도 연대기인 「탐라지」에 나와 있다. 이 책에는 1707년(숙종 33년)에 일본 혼슈섬 태평양 연안에서 발생한 규모 8.6의 호에이 지진으로 인한 지진해일이 제주도에 도달한 것으로 기록돼 있다.

제주발전연구원 박창열 책임연구원은 올해 3월 발표한 '제주지역의 지진 발생 특성과 대응 시사점' 정책이슈브리프에서 일본 도카이, 도난카이, 난카이 등 3개 지진대에서 대규모 지진이 연속적으로 발생하면 대형 지진해일에 의해 제주도 연안에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또 지진해일이 도달하는 시간은 지진발생후 약 4시간 안팎으로 분석했다.
 

경북 포항의 흥해초등학교가 2017년 11월 발생한 강진으로 건물 외벽이 무너져 내렸다.

△급속한 노령화·도심집중화 위험요소
제주지역의 지진 발생빈도와 규모, 피혜사례 등을 감안하면 국내 타 지역보다 지진발생 위험도가 낮은 편에 속한다. 제주도 해역의 수심 등을 고려하면 주변지역에서 발생하는 대규모 지진에 의한 지진해일 피해가 나타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그런데 방심은 금물이다. 제주 지역의 경우 급속한 노령화와 도심화로 지진 또는 지진해일 피해가 더욱 커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행정안전부의 주민등록인구통계에 따르면 지난 5월말 기준 도내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9만4398명이다. 도내 총 인구의 14.25% 수준에 달한다. 65세 이상 인구는 2005년 12월 5만5795명(10.00%), 2010년 12월 6만9641명(12.19%) 2015년 12월 8만5893명(13.75%)로 지속 늘고 있다 지난해 6월 9만1109명(14.04%)을 기록해 고령사회로 첫 진입했다.

80세 이상 노인인구는 2만4067명으로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25.5%로 조사됐다. 이는 2005년 12월 기준 1만437명에서 13년 사이 2배 이상 늘었다.

인구의 대부분이 도심지역에 살면서 인명피해가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지난 9월 인구 50만명을 넘어선 제주시의 경우 동 지역 인구가 38만4849명에 달한다. 2006년 특별자치도 출범 당시와 비교해 24% 늘었다. 노형동(5만5759명), 이도2동(5만455명), 연동(4만3219명), 일도2동(3만4975명), 아라동(3만4103명) 등이 대표적 인구밀집 지역이다.

지진·지진해일로 인한 공항과 항만 폐쇄로 제주 섬이 고립될 수 있기 때문에 철저한 대비가 요구되고 있다. 

연간 1500만명에 달하는 관광객과 외국인 관광객에 대한 대비도 세워야 한다. 김병곤 도시계획 박사는 "제주가 지진 안전지대라는 환상에서 벗어나 대비를 하지 않으면 자칫 돌이킬 수 없는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며 "지진은 대규모 인명·재산 피해가 발생하고 복구에도 막대한 사회적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철저히 대비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또 "제주는 특히 섬 이라는 지리적 특성상 지진인 지진해일 피해가 발생하면 필연적으로 고립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특히 지진 이후 관광산업 침체 등 2차, 3차 피해가 더 큰 문제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특별취재반=김대생 교육문화체육부 부국장, 강승남 정치부 차장, 자문=김병곤 도시계획 박사(오사카대 대학원 졸업)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