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민이 행복한 더 큰 제주 실현과제 5. 미래성장동력

감귤·관광 대표 1·3차 산업 의존도 개선 요구 꾸준
바이오·신재생에너지 이어 청정·블록체인 등 급부상
정부 설득, 지자체간 경쟁 첨예…촘촘한 전략 절실

지난 4일 열린 '2019년 경제활성화 도민 대토론회'의 핵심 화두는 산업구조 재편이었다. 그 동안 제주경제를 지탱했던 감귤과 관광 등 1·3산업 의존 구조에서 벗어나 미래성장을 위한 동력을 제대로 가동해야 한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렸다.

민선7기 제주도정은 출발 신호와 함께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기대를 전진 배치했다. 민선6기 바닥을 다진 바이오·신재생에너지 산업에 더해 '블록체인'이라는 신산업 아이템을 꺼냈다. 조직개편을 통해 미래전략국을 만들고 개방형 공모로 전문가들을 섭외하는 등 판을 짰다.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신산업 발굴과 산업구조 개편 주문은 꾸준했다. 대규모 개발이 불러온 환경 파괴와 삶의 질 하락 문제와 더불어 청년을 중심으로 한 인구유인책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 등 풀어야할 과제가 늘어나면서 지역특화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미래 산업 생태계 구축이 절실해진 때문이다.

신기술 기반의 첨단산업 육성을 위해 제주도가 선택한 카드는 '블록체인'이다. 원 지사는 지난해 8월 청와대에서 열린 17개 시도지사 첫 간담회에서 '암호화폐 상장공개 허용'을 건의했다. 국제자유도시라는 지위를 활용한 '블록체인(Block Chain) 허브 도시' 구축 선언을 한 이후의 광폭 행보는 도민 사회 공감대 부족이라는 우려를 살 정도였다.

"암호화폐와 블록체인 산업은 육성하고 부작용은 최소화하는 규제를 선도적으로 수립해 세계 블록체인 산업이 따라오는 '룰 메이커(Rule Maker)'가 되겠다"는 구상과 더불어 고도의 자치권이 보장된 법적 특수지위를 십분 활용한 특구 지정 등에 공을 들이고 있다.

구상은 나왔지만 현실은 녹록치 않다. 법제도 불확실성 제거를 위해서는 정부의 동의가 필요하다. 서울을 비롯해 다수의 지자체가 블록체인의 가능성에 기대를 걸고 있는 상황도 감안해야 한다. 블록체인 서비스모델 발굴과 확산, 암호화폐에 대한 규제마련을 통해 산업진흥, 인력양성, 투자연계 등을 통한 산업기반 조성 등 세 갈래로 진행하고 있는 사업 효과를 체감하기까지 넘어야 할 산이 많다는 점도 우려되고 있다.

미래성장동력은 또 있다. 제주도 내 신재생 발전 인프라 구축 및 전기차 확산 사업 등을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으로 융합하고, 시너지를 창출해 2030까지 제주를 '탄소없는 섬'으로 만드는 '글로벌 에코 플랫폼 제주'사업도 그 중 하나다. 전기차와 연관된 문화·관광 등이 융합된 미래형 산업 생태계 조성도 구상중이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친환경스마트자동차연구센터의 제주 이전을 통해 자율주행·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사업 등 미래 신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이들 의지는 그러나 기존 제주경제를 지탱했던 1·3차 산업에 대한 상대적 홀대로 비춰지는 등 저항이 만만치 않다. 일자리 창출 등 부가효과를 얻기 위한 인재양성 등 교육과 기술 기반을 갖추지 않을 경우 역풍을 맞을 수 있다는 점도 우려된다.

도 관계자는 "제주의 특구 구상은 블록체인에 한정한 것이 아니라 전기자동차·화장품 뷰티 혁신 등 기존산업을 아우를 수 있는 다양한 방향으로 진행하고 있다"며 "산업생태계를 바꾸는 일이다. 미래 제주 경제를 지탱할 수 있는 가능성과 잠재력을 충분히 공유해 변화를 유도하는 방향으로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