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제주 이주 5년 이상 근로자 만족도 5년 미만 대비 절반 뚝
25~39세 출산 연령층 '리턴' '이탈' 뉴 공동화 현상 우려도
주거 부담 가중 등 인구 증가세 둔화…절벽·소멸 위기감 ↑


경기 둔화로 인한 경제 위기에 이어 저출산·고령화, 유입인구 '리턴' 등 연초부터 제주 위기론이 부상하고 있다. 각종 개발 사업과 부동산 경기 호조 등에 힘입어 탄력을 받았던 분위기가 급격히 위축되면서 새로운 형태의 공동화 현상을 만들어내는 등 구조적 문제 해결이 급선무가 됐다.

△인구 감소 시대 '문턱'

9일 제주도에 따르면 제주 인구 증가율은 2010년 1.6%(9274명), 2013년 2.2%(1만2221명), 2015년 3.2%(1만9805명), 2016년 3.1%(1만9835명) 등 상승세를 이어갔다. 하지만 2017년 2.7%(1만7582명)으로 꺾인데 이어 2018년 2%(1만3260명)로 하락세로 돌아섰다.

순유입 인구 감소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지만 보다 명확하게는 인구 구조의 문제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제주는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자연증가 인구 감소 시대 '문턱'에 있다.

통계청 자료 등을 보면 지난해 9월까지 제주 순유입 인구는 매달 1000명 이상을 기록했다. 10월 832명으로 하락했지만 전국적으로 인구 이동 추이가 위축된 상황을 감안하면 위험신호로 판단하기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자연증가 인구는 다르다. 통계청 인구동향 조사를 기준으로 파악한 제주지역 자연 인구 증가 규모는 2015년 2261명에서 2016년 1952명, 2017년 1299명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지난해도 10월까지 700명 늘어나는데 그쳤다.

출생률 감소 여파는 지역 민간·가정 어린이집 폐원 등으로 살필 수 있다. 2015년 419곳이던 민간·가정어린이집은 2016년 387곳, 2017년 368곳, 지난해 6월까지 353곳으로 계속해 감소했다. 2015년부터 3년 동안 한해 평균 30곳 정도가 폐업 신고를 했다.

△사회적 증가 기대 힘들어

올해 전망은 더 우울하다. 한국은행 제주본부는 올해 제주경제 대내외 경제 리스크 요인 보고서를 통해 인구 순유입 규모 지속 축소 전망을 내놨다. 부동산 가격과 생활물가 상승에 따른 주거비용 증가와 기대소득 감소 등을 제약요인으로 꼽았다. 현장의 우려는 더 심각하다. 유입인구 '리턴'에 의한 경제 공동화가 새로운 변수로 등장했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은 제주도민 일자리 인식 실태조사를 겸해 진행한 노동시장 분석 결과를 통해 '제주 이주 근로자 이탈'을 경고했다.

이주민들의 근로만족도가 제주 도민에 비해 높게 나타났지만 '5년'을 경계로 급락하는 양상을 보인 때문이다. 만18~54세 이주 근로자 중 5년 미만의 근로만족도는 12.1%로 전체 평균 11.0%보다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5~10년의 근로만족도는 5.8%로 절반 이하로 떨어진다. 10년 이상도 6.3%로 낮았다.

사회적 증가 인구 추이 역시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경고에 힘을 실었다. 제주의 사회적 증가 인구(전입인구-전출인구)는 2010년 이후 순유입으로 전환된 이후 연평균 34.7%(2010~2017년간) 증가했다. 제주 인구 순이동 증가율은 지난해 이미 마이너스로 전환(-4.3%)됐다.

지난해 4월 이후 제주 청년층 인구(25~29세, 35~39세)의 전출이 상대적으로 많았던 상황도 우려를 샀다. 4~8월에만 3340명이 제주에서 주소를 옮긴 가운데 25~39세가 전체 28.9%를 차지했다.

리턴 원인으로 근로만족도 하락과 주거 부담이 지목됐다. 제주 인구밀도(1㎢)는 2007년 304.74명에서 지난해 366.88명으로 늘었다. 자가가구의 연소득 대비 주택구입가격 배수(PIR Price Income Ratio)는 2016년 기준 5.6으로 2010년 2.8을 기록한 이후 6년 사이 갑절 가까이 높아졌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