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전기차 보급에 따른 정책 토론회' 개최…전기차 재구매 의향 10% 그쳐
기존 자동차 전문정비업 5년 새 142개 업체 폐업…관련업계 공존 대책 시급

최근 제주지역에서 전기자동차의 확산으로 전문정비업 등을 비롯해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 관련 업계의 위기의식이 커지고 있어 관련업계가 공존할 수 있는 정책마련이 요구된다.

특히 2030년 도내 운행차량 100% 전기차 전환을 목표로 '2030 카본프리 아일랜드'를 추진하는 제주도가 전기차 도래에 따른 사회·경제적 영향 정도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제주도의회 환경도시위원회(위원장 박원철)와 ㈔제주교통연구소(소장 송규진)는 7일 도의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전기차 보급에 따른 대응방안 마련을 위한 정책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조항웅 ㈔제주교통연구소 이사가 발표한 '전기차 보급에 따른 피해산업 현황 및 대응방안 모색' 자료에 따르면 전기차 구매결정 요인은 세제 및 보조금 혜택이 58.3%로 가장 높았고 이어 연료비 절감이 30.20%, 성능 4.20% 등으로 조사됐다.

또 전기차 재구매 의향이 10.40%에 그쳤고, 31.30%가 내연기관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플러그인하이브리드와 하이브리드가 각각 28.10%로 뒤를 이었다.

제주도내 자동차 전문정비업은 2014년 585개 업체에서 2018년 443개 업체로 감소하는 등 2014년 이후 6.71%의 감소율을 보이면서 최근 5년 사이 142개 업체가 폐업했다.

제주도 전기차 계획안을 보면 2030년 전기차 수요예측은 37만7000대다. 하지만 매년 폐차 수를 고려하면 26만7000대로 감소하고 재구매 의향을 고려하면 25만5000대다. 이 둘의 평균 수치는 26만1000대로 제주도 수요예측과 큰 차이를 보였다.

이에 따른 전기차 비율도 2030년 제주도 계획 시 87.76%에서 폐차와 재구매의사를 반영하면 60.84%에 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조 이사는 "전기차 100% 목표 달성시 기존의 내연기관 자동차 수리를 담당했던 전문정비업이 2030년 239개 업체가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됐다"며 "전문정비업의 공급과잉으로 인해 사업체 경영악화 및 서비스 질 저하 등이 초래될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자동차정비업체의 적정공급 규모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전문정비업의 상생을 위해 전문정비업 총량제 검토와 전기차 활성화 종합계획 변경, 전문정비업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대상 검토 등이 필요하다"며 "전기차 관련 산업육성 대책으로 폐배터리 사업, 전정화 부품사업, 충전기사업, 애프터마켓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김지석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