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문화 실천사례를 찾아서 1. 프롤로그

지역공동체 회복 통한 '행복한 주민의 삶' 모색
제주 지역사회 갈등·분열 등 현대사회 문제 잠재
정신문화 및 공동체 강화 무엇보다 필요한 시점

행복한 주민의 삶을 위한 대안으로 지역공동체 회복이 떠오르고 있다. 

지역공동체 회복을 위해 마을 등 지역이 되살아나고 주민의 삶이 행복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역 사회에 없었던 것을 새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그동안 지역 사회에 있었던 것을 '재생산' 등을 통한 공동체 회복으로 지역 사회에 만연한 갈등과 대립을 치유하고 지역 사회 발전과 통합에 기여하는 것이다.

하지만 제주 지역사회에는 최근 귀농·귀촌인과 원주민 사이에 문화 차이, 세대 간 갈등, 이해관계 등에 따른 분열 등 현대사회 문제가 시한폭탄처럼 잠재돼 있다.

여기에 각종 대규모 개발사업 등으로 자생부락(마을) 주민들이 마을을 떠나게 되고 지역 공동체가 해체되면서 주민들의 삶의 질도 떨어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개인 간 이기주의 심화, 공공분야에 대한 불신, 혈연·지연·학연 등 폐쇄적 연고주의로 인한 불필요한 사회적 비용의 증가로 도민사회 갈등이 심화, 도민들의 정신문화 및 공동체 강화가 무엇보다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전국 자치단체들이 공동체 회복을 위해 다양한 사업을 기획해 추진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지역 공동체 강화와 갈등 예방을 위해 도덕성 회복운동, 친절·칭찬 릴레이 운동 등을 추진하고 있다.

또 다양한 교육을 통해 시민의식 개선에 나서고 있다. 이제는 지역 사회의 공동체 회복 운동이 공직사회를 넘어 주민들이 동참하는 민관 협력사업으로 거듭나고 있는 추세다.

남원읍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추석맞이 행사. 자료사진

▲ 제주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 등 민·관 협력사업 활발

제주도는 지역 공동체 회복과 사회보장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통한 민·관 협력사업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또한 읍·면·동마다 '보장협의체'를 구성해 우리 주변에 도움이 필요한 분들을 적극 발굴, 지역사회 내 복지자원에 연계하는 등 협의체 중심의 지역사회 민관협력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올해 8월 기준 제주도 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제주시 532명, 서귀포시 382명 등 43개 읍·면·동 지역에 914명으로 구성됐다. 

이들은 △복지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복지대상자 발굴 △복지대상자 지원 확대를 위한 지역자원 발굴·연계 △지역특화사업 추진 등 촘촘한 복지안전망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와 함께 주민이 자발적으로 참여해 주변의 복지 위기가구를 능동적으로 발굴하고 지원하는 무보수·명예직의 지역 인적 자원망인 '우리동네 삼촌 돌보미'를 운영하고 있다.

이는 저출산 고령화 등 사회구조의 변화와 더불어 실직, 휴·폐업, 질병, 소득상실 등으로 인한 가족해체 및 사회적 고립 등 위험 증가하고 이에 따른 빈곤 위기가구, 돌봄 위기가구, 주거 취약가구 등 신(新) 사회적 위험요인의 증가 및 공공과 민간기관을 포괄하는 능동적인 위기가구 발굴 체계의 확대 구축이 요구됨에 따라 민관협력 인적 자원망을 다양하게 확대 구성하기 위함이다.

'우리동네 삼촌 돌보미'는 찾아가는 맞춤형복지팀 및 읍면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등의 현행 위기가구 발굴체계를 보완하고 자발적인 참여를 희망하는 지역주민 네트워크로 시 및 읍면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위원, 이(통)장, 주민자치위원, 주민 밀착직종 종사자, 자원봉사자, 사회보장급여법 제13조의 신고의무자 등 지역사정을 잘 아는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행정시 별로 2018년 12월에 구성됐다.

현재 제주시 1286명, 서귀포시 803명 등 2089명이 '우리동네 삼촌 돌보미'로 활동하며 지역 사회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우리동네 삼촌돌보미'의 역할은 △사회보장급여 등 도움이 필요한 위기가구에 대한 적극적인 제보 △위기가구 발굴 및 지원의 의미와 참여에 대한 홍보와 공유 △위기가구 지원을 위한 물적·인적 자원발굴 참여 등이다.

서홍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짜장면 나눔. 자료사진

▲ '지역 마을 공동체 회복'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

지역 사회 공동체 회복 및 활성화를 위해서는 기관의 지원에만 의존하거나 유사사업 간의 중복을 피하고 지원 정책을 모방하는 데서 벗어나야 한다. 

아울러 공동체 회복의 개념과 범위를 넓게 정의하고 마을주민의 욕구와 마을 특성에 맞는 유연한 사업방식과 다양한 매뉴얼을 개발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무엇보다 현대사회의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한 해법과 획일화된 산업화로 본연의 모습을 잃어가는 지역 마을의 공동체 회복은 여전히 해결해야 할 숙제로 남아 있다.

이에 따라 제민일보는 지역의 새로운 희망을 찾기 위해 칭찬캠페인과 친절문화 확산 등 정신문화 및 공동체 강화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다른 지역을 방문해 운영사례를 조사 및 보도하고 제주지역 실정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적극 활용한다.

강동우 제주도 자치행정과장

"제주지역 사회의 공동체 회복과 활성화를 통해 주민의 삶의 질이 향상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강동우 제주도 자치행정과장은 제주 지역 사회의 공동체 회복을 위해 민관협력을 통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공직사회와 지역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 없이는 공동체 회복 및 활성화가 어렵기 때문이다. 

강동우 과장은 "최근 제주도는 도시화 등으로 본연의 모습을 잃어가고 있다"며 "특히 고령화를 넘어 초고령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현대사회의 문제점이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지역 사회의 공동체 회복 문제는 행정과 지역 마을 주민들이 서로 긴밀한 협력으로 종합적인 진단과 해결책을 찾아가야 한다"며 "민관이 함께하는 제주 공동체 모델을 정립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강 과장은 "이에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 등 정신문화 강화 및 공동체 회복을 위해 지역사회 민관협력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더불어 사는 나눔과 도민행복이 가득한 제주도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