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에서 선량한 서민들의 돈을 갈취하는 보이스피싱(전화금융사기) 범죄가 끊이지 않고 있다. 이미 사회적 문제가 된지 오래라 요즘에도 보이스피싱에 당하는 사람이 있겠냐 싶겠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경찰과 금융감독원, 금융기관 등에서 피해 예방 홍보를 하고 단속에도 나서고 있지만 범죄수법 역시 날로 교묘해지고 지능화하면서 도민들의 피해도 크게 늘고 있다.

제주지방경찰청에 따르면 최근 3년간 도내 보이스피싱 피해 사례는 1295건에 피해액도 149억여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 보면 2017년 378건, 2018년 505건에 이어 올해 9월말 현재 412건의 보이스피싱 범죄가 발생했다. 이에 따른 피해액은 2017년 34억이던 것이 2018년에는 55억원, 그리고 올들어서는 벌써 60억원으로 해가 갈수록 피해 규모도 커지고 있다. 

수법도 다양하고 교묘하다. 가장 흔한 형태는 경찰·검찰·금감원·금융기관을 사칭해 범죄에 연루됐다고 하면서 개인정보나 금융정보를 요구하는 경우다. 휴대전화에 원격조종이 가능한 앱을 설치하도록 유도한 뒤 돈을 빼내가기도 한다. 자녀를 납치했다며 현금을 요구하기도 한다. 그런가하면 최근에는 대출을 받기 어려워지는 서민들의 취약성을 이용한 대출 빙자형 보이스피싱이 극성이다. 실제 최근 3년간 도내 보이스피싱 1295건 중 1140건(102억원)이 이같은 대출 빙자형 범죄였다.

자신이 범죄에 연루됐다거나 가족의 안위를 볼모 삼으면 불안하지 않을 수 없다. 한푼이 아쉬운 서민들에게 저금리 대출 등은 충분히 혹할 일이다. 하지만 일단 전화상으로 송금을 요구하는 것은 보이스피싱 사기라는 의심을 하고 확인할 필요가 있다. 보이스피싱 피해자가 되는 것은 '아차'하는 순간이다. 스스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경찰과 금융당국도 지속적인 예방 홍보와 함께 피해를 막을 수 있는 다각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