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봉철 디지털편집팀 차장

지금으로부터 40년 전인 1979년 10월 16일은 박정희 유신독재에 맞서 민주주의의 새벽을 연 위대한 항쟁이 시작된 날이다. 

올해 제40주년을 맞은 '부마민주항쟁'이다. 지난달 17일 국무회의에서 10·16부마민주항쟁을 국가기념일로 지정한 뒤 16일 처음으로 기념식이 열렸다.

기념식은 장소는 10월 18일 마산 지역 항쟁의 출발점이었던 경남 창원의 경남대학교 대운동장이다.

부마민주항쟁은 지난 1979년 10월 16일부터 10월 20일까지 부산과 마산 등 경남 일원에서 박정희 유신체제에 대항해 발생한 민주화운동이다.

당시 '민주회복'의 기치를 든 신민당 김영삼 총재가 9월 8일 총재직 정지 가처분 결정과 10월 4일 의원직 박탈 등 위기를 맞자 유신체제에 대한 야당과 국민의 불만이 크게 고조된 것이 배경이 됐다.

그의 정치적 본거지인 부산에서는 10월 15일 부산대에서 민주선언문이 배포되고, 16일 5000여명의 학생에 시민들까지 합세한 대규모 반정부시위가 전개됐다.

시위대는 다음날까지 정치탄압 중단과 유신정권 타도 등을 외쳤고, 18일과 19일에는 마산·창원 지역으로 시위가 확산됐다.

18일 부산 지역에 비상계엄령이 선포되고 1058명이 연행됐고, 66명은 군사재판에 회부됐다. 20일에는 마산·창원에 위수령을 발동해 군을 투입됐다. 그 결과 505명이 연행되고 59명이 군사재판에 넘겨졌다.

가혹한 국가폭력으로 시위는 진정됐지만 26일 대통령 박정희가 사망함으로써 유신체제의 종말을 앞당긴 계기가 됐다.

16일 제40주년 부마민주항쟁 기념식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은 "어떤 권력도 국민 위에 군림할 수 없다. 모든 권력기관 역시 국민을 위해 존재한다는 민주주의의 상식을 명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검찰개혁이라는 시대적 화두에 대한 대답인 동시에 어떤 권력기관도 국민 위에 군림하려 해서는 안된다는 경고를 담은 것으로 평가된다.

정부와 대통령은 이날 "진상규명과 피해자들의 명예회복, 보상에 힘을 쏟겠다. 역사의 정의를 바로 세우겠다"는 다짐을 행동으로 실현하고, 제주4·3의 완전한 해결에도 관심을 이어가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