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의 '지방소멸' 위기가 심화되고 있다. 한국고용정보원의 '한국지방소멸 2019' 보고서를 보면 도내 읍·면·동 중 37.2%인 16곳이 지방소멸위험지수에 따라 '위험지역'으로 분류된 것이다. 지난해 13곳에서 3곳이 늘었다. 지방소멸위험지수는 한 지역의 20~39세 여성인구 수를 65세 이상 인구수로 나눈 수치다. 0.5~1.0 미만은 '주의', 0.5 미만 '소멸위험', 0.2~0.5 미만 '소멸위험 진입', 0.2 미만은 '소멸고위험지역'이다. 

서귀포시지역은 더욱 심각하다. 소멸위험지역이 17개 읍·면·동에서 절반이 넘는 10곳에 달했다. 제주시지역은 26개 읍·면·동 중 6곳이었다. 추자면은 0.164로 지난해에 이어 소멸고위험지역으로 구분됐다. 이처럼 지역 전반에 걸쳐 지방소멸 위기감이 고조되면서 제주의 소멸위험지수도 올 6월 기준 0.81로 지난해 0.86보다 낮아졌다. 2013년 0.94로 하락한 이후 갈수록 악화추세다.

지방소멸 위기는 인구 감소에 따른다. 지난해 제주지역 출산율은 1.22명으로 1993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유입인구도 감소세다. 2010년 이후 지속적으로 늘면서 2014년부터 순유입인구가 1만명이 넘더니 지난해부터 급격히 줄고 있다. 여기에 안정적인 일자리 부족과 경기침체 등의 영향으로 청·장년층이 읍·면 농어촌에서 도심으로, 수도권 등으로 빠져나가면서 지방소멸위험은 더욱 커지고 있다.    

소멸위험지역은 지금처럼 간다면 지역공동체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고 사라져버린다는 의미다.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 지방소멸에 대한 해결책은 결국 사람이다. 지역에서 사람이 떠나지 않도록 하고, 출산율을 높이고, 나아가 사람이 들어오도록 해야 한다. 지자체는 물론 정부 차원에서 안정적인 일자리 창출과 함께 걱정없이 아이를 키울 수 있는 양육·교육환경 조성, 복지 등 다각적인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