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유네스코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3주년 학술대회 성료

29일 유네스코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3주년 학술대회 성료
네트워크 등 지역성 극복, 보훈 정책 개선 등 정부 의지 강조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 등재’로 바뀐 제주해녀에 대한 시각과 활용 방안에 대한 보다 촘촘한 고민이 주문됐다. 등재 후 3년 동안의 변화 정도를 파악하고 과거에 치우치기 보다 해녀가 지닌 가치를 끌어내 제주 발전과 연결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제주해녀문화의 유네스코 등재 3주년을 기념한 학술대회가 29일 메종글래드 제주 호텔에서 열렸다.

‘문화와 항일정신’을 주제로 올바른 인정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폭넓은 논의를 진행했다.

제주도는 지난 2016년 제주해녀문화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 등재를 기념해 2017년부터 다양한 기념행사를 진행해 왔다. 학술대회도 그 일환이다. 첫 해는 한국과 미국, 중국, 일본,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6개국 학자와 전문가 등이 참가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의 의미와 무게를 가늠하는 시간을 가졌다.

지난해 두 번째 행사에서는 제주 해녀 항일 정신의 역사·문화적 가치와 제주해녀문화의 중층적 가치를 다뤘다.

올해 행사는 학술대회 특성상 주제 등에 있어 눈에 띄는 변화를 주지 않는 대신 접근법과 깊이에 있어 발전을 꾀했다.

접근 프로세서에 있어 ‘제주’라는 지역적 한계를 적절히 조절하는 혜안이 강조됐다.

박원모 유네스코 아태무형유산센터 협력네트워크 실장은 ‘제주해녀’라는 대표성을 해양 문화유산으로 개념을 확대할 것을 제안했다. ‘무형유산의 보호와 네트워크 구축 활용을 위한 제언’주제로 발표한 박 실장은 “생업에서 파생한 살아있는 유산이란 특징을 어떻게 활용하는가가 제주해녀문화의 유네스코 등재 취지를 살리는 방안이 될 것”이라며 “연대를 통해 위상을 높이려는 국제 흐름을 면밀히 살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라미경 배재대학교 교수는 ‘보훈정책의 시각에서 본 해녀항일운동의 과제’발제를 통해 “제주해녀항일운동에 대한 평가를 놓고 볼 때 궁극적으로 독립유공자 인정과 포상 기준이 적절치 않다는 점을 다시 확인할 수 있다”며 “제주 지역 차원이 발굴과 자료수집.연구 노력도 중요하지만 보훈 예산 증액이나 급여 의존성 해소 등 중앙정부 차원의 의지가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밖에도 참가자들은 해녀를 과거 이미지에 한정할 것이 아니라 공동체성 등 미래 가치로 새롭게 접근하는 방안, 문화콘텐츠화를 위한 루트 개발, 이미지 단순 소비와 복지성 지원에서 벗어날 수 있는 객관적 기준 설정 필요성을 역설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