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에 대한 국민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4·3평화재단이 실시한 2019년 전국민 인식조사 결과 4·3에 대한 국민 인식도는 82.9%로 나타났다. 국민 10명 중 8명 이상이 4·3을 알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현대사의 주요사건들 중 5·18민주화운동(99.1%)에 이어 두번째로 높은 인지도다. 4·3의 성격도 양민학살이 52.4%로 절반 이상이 무고한 희생이었음을 인식하고 있었다.

무엇보다 국민들의 제주4·3 인식도는 2017년 68.1%에 이어 2018년 78.7% 등 최근 3년간 14.8%나 높아졌다. 지난해 제주4·3 70주년을 기점으로 추모사업이 대폭 확대되고 전국화·세계화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데 따른다. 그리고 이는 수십년간 어둠속에 있던 제주4·3의 진실을 규명하고 억울한 희생자들의 명예 회복을 위한 도민들의 끊임없는 노력의 결과라 할 수 있다.  

제주4·3의 인식도가 높아진 만큼 많은 성과도 있었다. 특별법이 제정돼 진상조사가 이뤄지고, 대통령의 공식사과도 있었다. 4·3 당시 불법 군사재판으로 억울한 옥살이를 했던 생존수형인들에 대한 재심에서 법원이 무죄 취지인 공소기각을 선고했다.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기술도 바뀐다. 그동안 정부수립에 반대한 폭동이나 좌우 대립 소요사태로 규정돼왔지만 내년부터는 8·15광복과 통일 정부 수립 과정을 이해하는데 알아야 할 학습요소로 다뤄진다. 

제주4·3은 이제 낯설고 감춰진 역사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제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낡은 냉전 이데올로기를 앞세운 일부 극우단체와 인사들의 색깔 공세가 여전하다. 당시 불법수감자들의 재판무효와 희생자 명예회복, 배·보상 등을 담은 특별법 개정안도 수년째 국회 계류 중이니 말이다. 국가 공권력에 무고한 양민이 희생된 우리 현대사 최대 비극인 제주4·3의 완전한 해결에 정부와 정치권의 보다 적극적인 관심과 노력이 절실하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