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의 재해에 의한 농작물 폐작에 이어 감귤·당근등 농산물의 가격폭락으로 농촌경제가 휘청거리고 있는 상황에서 제주도 당국의 위기 대처능력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제주도 당국은 최근 잇따라 농민을 달래기 위한 대책을 내놓고 있으나 대증요법이라는 지적과 함께 실효성이 떨어지는등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감귤값 지지를 위한 99년산 노지감귤 1∼2만톤의 정책수매 방침만 하더라도 시기적으로나 수혜대상자등을 감안했을 때 효과를 반감시키는 급조된 면피용 정책이라는 비난을 면키 어려운 실정이다.

 더 큰 문제는 1∼2만톤의 수매로 잔량처리가 원활해질 수 있을지 여부다.도의 감귤 생산량 통계가 부정확 할 경우 비가림 감귤은 물론 향후 하우스 감귤의 유통 처리에까지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비관적 분석이 그래서 나오고 있다.

 특히 전국농민회총연맹 제주도연맹과 전국여성농민회 제주도총연합등에서 감귤 및 가격폭락에 따른 대책을 촉구하며 집단시위에 들어가는 국면에서야 서둘러 영농자금 상환연기 조치등을 내놓아 뒷북행정이라는 불만의 소리가 나오고 있다.

 그런가하면 노지 저장감귤의 처리지연으로 인한 수상월동감귤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체계적인 유통대책 수립도 부랴부랴 마련하는등 농정의 일관성을 상실했다는 지적이 많다.

 물론 일각에서는 감귤값 폭락을 행정기관의 책임으로만 돌리는데는 다소 무리가 있다고 말하고 있기도 하다.오히려 생산자 단체와 농가의 책임이 더 클 수 있다는 논리도 상당한 설득력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행정기관이 직접 나서 생산량 조절에서 유통까지 전 부문에 걸쳐 관여하고 있는 현실에서 제주도 당국의 실현성과 실효성 있는 농정이 그 어느때보다 요구된다는 목소리가 높다.

 따라서 제주도 당국은 감귤값 폭락에 따른 일련의 사태를 농업재해 차원에서 재인식,이제라도 농민들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한편 다각적인 지원책을 강구한후에 항구적인 대책을 수립해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윤정웅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