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형 전철 '트램'이 세 번째 도전에 나섰다. 트램은 도로에 설치된 레일 위를 달리는 대중교통수단이다. 도심 교통난 해소, 저탄소시대 친환경교통수단, 구도심 활성화 등 여러 이점으로 제주에서는 지난 2010년 우근민 도정이 처음 추진했다. 하지만 천문학적 재정 부담과 경제성 부족으로 백지화 됐고, 이후 원희룡 도정이 2016년 제주교통혁신을 명분으로 재추진했지만 같은 이유로 도입 시기를 2023년 이후로 미루면서 사실상 좌초됐다.

트램 도입 논의는 오영훈 도정의 핵심공약에 반영되면서 다시 재개됐다. 오 도정은 이전과 달리 수소전지를 연료로 한 '무가선 트램'을 제시했다. 문제는 경제성이다. 이에 따라 오 도정은 오는 9월까지 경제성 확인 검토 용역을 추진하고 있다. 또 지난 10일 열린 '제주형 수소트램 활성화 정책 제언 포럼'에서는 최대 시속 50~70㎞의 트램이 '제주시 용두암~한림 금릉해수욕장' 40㎞ 구간을 정차시간 포함 3시간가량 운행하는 방안이 도출됐다.

오 도정이 수소트램 도입 논의를 본격화하면서 과제도 적지 않다. 무엇보다 재원 확보가 최대 관건이다. 용역팀에 따르면 트램 초기 투자비용이 ㎞당 200억원 소요, 40㎞ 구간에 산술적으로 적용하면 최소 8000억원이 필요하다. 여기다 도심교통 해소 및 구도심 활성화 효과, 버스 등 기존 대중교통수단과의 중복노선 조정도 해결해야 할 과제다. 국비 확보도 그렇지만 도민을 설득하기 위해서는 트램 도입 효과가 분명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