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과 행복한 제주만들기 7. 길고양이와 공존1

   길고양이는 전국적인 고민거리다. 울음소리로 인한 민원, 길고양이 급식소 설치에 따른 주민간 다툼 등 논란은 끊임이 없다. 제주에서는 천연기념물 뿔쇠오리 보호를 위해 마라도에서 길고양이를 반출하는 과정에서 일부 단체와 갈등을 빚었다. 길고양이가 혐오의 대상이 되어서는 안된다. 공존을 위한 지자체 차원의 갈등 해소 노력은 물론 시민들의 지혜가 필요하다. 이번 기획에서는 앞으로 두차례에 걸쳐 현주소, 방안 등을 각각 다룬다.[편집자주]

 

캣맘 등 주민간 다툼 잇따라
먹이 급여 제지 방법도 없어
서로 배려하는 시민의식 필요
도 '고양이 중성화 사업' 시행

   길고양이로 인한 갈등 꾸준
   "밤마다 울음소리를 내니 잠을 잘 수가 없습니다" 길고양이로 인한 대표적 민원사례다. 제주도에 따르면 길고양이로 인한 다양한 민원이 꾸준히 접수되고 있다. 길고양이에게 먹이를 챙겨주는 사람을 뜻하는 일부 '캣맘'으로 인해 불편을 호소하는 이들도 적지 않다. 거주지 근처에서 먹이로 인해 몰려든 길고양이의 배설물과 냄새로 인한 피해를 본다는 것이다. 문제는 뚜렷한 해결방안이 없다는 점이다. 길고양이로 인한 자동차 파손 등 피해보상에도 한계가 있다.  

   제주도는 길고양이가 동물보호법상 구조 보호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강제로 포획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먹이를 주는 행위 역시 불법행위가 아니라 제지할 방법도 없다. 캣맘 등 타인이 길고양이 먹이를 주기 위해 놓아둔 밥그릇을 함부로 치우면 재물손괴죄가 성립될 수 있다. 실제로 지난해 12월 서울중앙지법에서 한 여성이 밥그릇을 버려 재물손괴죄가 인정됐던 판례가 있다. 이처럼 길고양이와의 동거는 녹록치 않다.

 

   돌보기 이전, 주민 공존 힘써야
   길고양이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잘못된 방법으로 표출되며 사회적으로 물의를 일으킨 사례도 있다. 제주에서는 한 아파트 주민이 길고양이를 잔혹하게 죽이고, 아파트 캣맘들이 마련한 길고양이 사료통에 폐유를 뿌린 사건이 있었다. 이어, 캣맘들을 폭행하거나 협박 문구를 적은 메모를 아파트 관리사무소에 부착했다. 서로간의 건강한 대화와 더불어 제도의 개선 또한 시급하게 요구되는 대목이다. 

   일부 캣맘의 배려없는 행동은 도마 위에 오르지만, 도내 동물단체와 시민들은 주민간 공존에도 중점을 둔다고 말한다. 도내 한 동물단체 관계자는 "우리 단체는 길고양이 중성화 사업과 다양한 동물보호 캠페인을 전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캣맘 등을 대상으로 급식소 설치와 관련한 행동지침 교육도 진행하고 있다"라며 "급식소에서 냄새가 나지 않도록 적당한 양의 먹이를 제공하고, 청결 관리 등 주민 불편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행동할 것을 숙지시키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급식소 설치는 해당지역 마을회, 주민센터 등과 충분한 협의를 통해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다.

 

   제주도 '중성화 사업' 실시
   각종 논란들이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자 제주도는 길고양이 중성화사업 'TNR(Trap-Neuter-Return)'을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는 거의 모든 자자체에서 시행하는 사업이다. 제주도에 따르면 최근 4년간 제주에서 중성화 한 고양이 개체 수는 2020년 1864건, 2021년 3104건, 2022년 3805건, 2023년 8월 기준 2514건으로 매년 꾸준한 중성화 조치가 이뤄지고 있다.

   제주도는 중성화로 개체수 조절, 고양이의 울음소리 방지 등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입장이다. 또한, 대부분 지자체에서는 오히려 급식소를 통해 길고양이 포획이 쉬워져 중성화 사업에도 도움이 된다고 밝히고 있다. 

   끝으로, 동물을 가엾이 여기는 마음이 잘못된 것이 아니다. 하지만 고양이를 무조건적으로 위하는 행동은 오히려 고양이들이 피해를 본다는 것을 현실이 말해주고 있다. 

 

※이 기획은 제주특별자치도의 지원으로 진행됐습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