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 기록되지 않은 피해] 상

광복 이후 성장률 최고 수준…제주4·3 주도 인물 상당수 교원
3·10총파업 이후 서북청년단 배치…전면 대립 이 과정서 희생
무장대·토벌대 의해 초토화…"관련 기록 불분명 연구 이뤄져야"

제주4·3 당시 중산간 마을 95% 이상은 불타 없어졌으며 제주도 인구의 10분의 1 이상이 희생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도내 교육시설 기반 역시 초토화됐다. 학교 역시 피할 수 없이 제주4·3 광풍에 휘말렸던 것이다. 현재까지도 제주4·3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럼에도 명확한 진상규명 등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는 산적하다. 이에 제주4·3 제76주년을 맞아 기록되지 않은 학교시설에 대한 피해 실태를 조명한다.

△학교 설립 가속

제주지역은 광복 이후 학교 설립이 가속화됐다. 당시 전국적으로 학교 설립 운동이 일어났고 제주는 가장 급속한 팽창을 불러왔다.

제주도교육청의 제주교육사(1999) 등에 따르면 광복 이전 52개 초등학교에서 광복 이후 43개 초등학교가 설립됐다.

이는 광복 전·후로 초등학교가 52개교에서 95개교로 늘어나면서 183%의 성장률을 보인 것이다. 전국적으로 120여%와 비교해 최고 수준인 셈이다.

특히 광복 이후 설립된 43개 초등학교의 77%인 33개교는 1946년 1년 동안 세워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등학교도 초등학교 설립 열기 못지않게 활발했다. 실제로 광복 이전 2개 중등학교에서 광복 이후 교육을 수행했던 중등학교는 정규·비정규 학교를 합해 총 16개교로 급증했다.

△이념대립 학교로 확대

이 과정에서 제주4·3을 주도했던 인물 상당수가 교사 출신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제주4·3 당시 학교와 학생들은 사상적으로 의심받아 큰 희생을 당했다.

실제 제주4·3을 주도했던 이덕구(조천중학원)와 김달삼은 교사 출신으로 당시 남로당 제주도위원회를 장악했던 것으로 알려진 인물이다.

앞서 제주4·3의 도화선인 1947년 3·1 발포 사건이 터지자 도내 대부분의 초·중등학교를 포함한 수많은 기관·단체가 3·10총파업에 돌입했다.

이후 3·1 발포 사건과 3·10총파업을 주도한 교사와 학생들이 대거 경찰에 연행되면서 교원 부족 현상이 심화했고 서북청년단 출신의 인물이 교단에 서는 경우가 많아졌다. 미군정이 경찰과 서북청년단 등을 제주로 대거 내려보내면서 남로당과 전면 대립 상황이 빚어졌다.

결국 1948년 4월 3일 남로당 제주도위원회는 무장한 후 도내 24개 경찰지서 가운데 12개 지서를 일제히 공격하면서 제주4·3이 발발하게 됐다.

이로 인해 토벌대 등은 제주의 교사와 학생들은 사상적으로 의심하고 교육시설 파괴까지 이르렀다. 당시 이념대립이 학교시설로까지 번진 것이다.

△무너진 학교시설

제주4·3으로 인해 수많은 교육시설이 무장대와 토벌대에 의해 소실되거나 파괴됐다.

제주도세요람(1953)이 제시한 교육시설 피해 상황에 따르면 당시 77개교·321교실이 전소되거나 부분 전소, 해체됐다.

이 가운데 초등학교의 경우 전소 73개교, 부분 전소 3개교 등이며 중학교는 1개교가 전소됐다. 다만 학교시설과 관련한 정확한 피해 실태 조사는 미흡한 상황이다.

실제 각종 문헌과 증언을 토대로 한 연구 결과에는 제주4·3으로 인한 교육시설 피해를 모두 50개교로 집계하기도 했다.

세부적으로 초등학교 전소 36개교, 부분 전소 3개교 등 소실 39개교, 해체 6개교이며 중등학교의 경우 전소 3개교, 폐교 2개교 등이다.

당시 학교시설은 토벌대의 주둔지가 됐고 도민을 감금하는 수용소가 되면서 이 같은 일이 빚어진 것이다.

문제는 일부 학교의 경우 방화의 주체, 전소 일자는 불명확하며 오인 기록된 학교가 더러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학교별 연혁에서 제주4·3 이전 상황을 기재하지 않고 복구 이후의 사실만을 다룬 학교가 있는가 하면 기록 자체가 없는 경우도 있다.

이에 교육적 차원에서 제주4·3의 진상이 규명되기 위해서는 관련 연구는 물론 정확한 피해 실태 조사가 요구되고 있다. 양경익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