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의 교육은 백년대계를 그 기본으로 해야 한다고 말한다.교육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말에 다름아니다. 때문에 백년대계인 국가 교육정책을 두고 교육 비전문가가 가타부타 하는 것조차 두려운 일임에 틀림이 없다.하지만 조령모개식의 변화무쌍한 우리의 교육제도에 대해 유감이 없을 수는 없다.정부가 새롭게 발표한 대학입학제도가 그것이다.

 정부가 엊그제 발표한 2002학년도 대입제도는 현행 제도의 기본적인 골격을 유지하고 있다고는 보아진다.현행 수능시험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그러나 수능활용도를 크게 줄이고 입학전형에 있어 대학 자율성이 강조됨으로써 그 가변성은 결코 적지 않다.이를테면 수능성적 총점제를 폐지하고 등급제도를 택하고 있는 것이거나,학생부·면접비중을 확대한 것은 현행의 제도와 크게 다르다.벌써부터 교육일선에서는 새로운 제도에 따른 부작용이 적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변별력이 없어지는데 따른 진학지도의 혼선과 합격자 선정기준의 불투명성이 초래하는 사회적 불신 등을 우려하고 있음이다.특히 크게 달라진 제도를 시행 1년여를 앞두고 발표함으로써 대학측이나 학교 학생 모두가 어쩔줄을 몰라하고 있음이 사실이다.교육제도가 바뀌는데 대한 불안과 당혹감의 정도가 예의 경우와 크게 다르지 않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물론 백년대계인 교육제도라고 해서 고정불변일 수는 없다.급변하는 시대인 만큼 더욱 그렇다.하지만 시대성이 아닌 정권과 정부책임석에 따라 우리의 교육제도가 춤을 추는데는 문제가 없지 않다.새로운 교육제도에 대해 익숙해지기도 전에 또 다른 제도와 정책이 무섭게 비집고 들어섬으로써 교육정책에 대한 불신을 조장해 왔음은 결코 새삼스런 얘기가 아니다. 때문에 새로운 제도가 발표될 때마다 그 제도의 속알머리를 헤아리기 보다는,과연 언제까지 유지될 제도냐는 의구심부터 앞섰음도 숨길수 없는 사실이다.

정권이 바뀔때마다,장관이 바뀔마다 정책의 기본틀이 크게 흔들리는데 교육이 바로 설 수는 없다.백년까지는 아니더라도 한세대 앞까지는 내다보이는 투명한 제도가 아니면 안된다.그리고 그것은 시행이전에 시간을 두고 검증에 검증을 거듭해야함은 물론이다.시행1년여를 앞두고 발표된 새 대입제도는 그래서 유감이다.<<끝>>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