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신년호]

종다양성-환경에 적응하여 선택된 유전자는 궁극적으로 특정 생명체의 형질로 진화된다.

이 결과가 생물종의 다양성을 나타내며 다른 지역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생물의 종류를 뜻 한다.

즉 진화적인 개념으로 '생물학적 종들의 다양한 정도'라 할 수 있다.

세계 라일락 시장에서 가장 비싼 품목 중 하나인 '미스킴라일락'은 1947년 한 미국인이 북한산 백운대 부근에서 자라는 정향나무 씨를 받아가 증식 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1976년부터 역수입하고 있다.
미국 조경수 회사의 인기 품종으로 뿌리를 내려 우리나라로 역수입되고 있는 개나리도 1917년 미국인이 경기도 광교산에서 채집해 간 것이다.

우리가 무심히 여겨온 우리나라의 자생 들꽃들이 해외로 유출돼 화훼 신품종으로 이용되거나 신약 개발을 위한 약용 유전자로 이용되고 있는 것이다.

∇고유종의 중요성

고유종이란 지리적으로 한정된 지역에만 분포하여 서식하는 생물분류군을 통칭한다.

1992년에 발표된 생물다양성협약은 자국내에 서식하는 생물자원에 대한 주권적 권리를 인정하되, 자국 생물종의 자세한 목록 및 주기적인 감시 체계를 의무화하고 있다.

특히 고유종은 장차 국가 고유의 생물 주권 확립의 핵심요소로서 우선적 보호 및 관리 대상이된다.

과거 일본, 미국 등 열강들은 다른 나라에 군대와 함께 지리, 식물, 동물학자들을 같이 보내 점령국의 생태계와 지리 등 모든 것을 연구하게 만들었다.   

생물자원에 대한 연구의 태동기인 19∼20세기 초 서구 학자와 일본학자에게 연구의 기회를 박탈당한 우리나라는 고유생물의 분류학적 연구에 매우 미흡한 편이다.

근래 들어 생명공학 산업의 발전과 생물종의 유전자원으로서의 가치가 증대 돼 고유종의 유전물질에 대한 연구 증진 및 지적 재산권 영역의 보호 필요성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생물다양성의 경제적 가치

인류는 탄생과 더불어 자연의 일원으로 다른 생물종과 함께 살아왔다.

100여종의 식물이 전 세계 식품공급의 90%를 차지한다. 해양 어류 채취는 연간 약 820억 불에 이르는 경제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

전 세계 80%의 사람들이 천연물을 이용한 전통의약에 의존하고 있고, 미국의 경우 조재되는 약 처방의 25%가 식물로부터 추출된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또 300종류 이상의 항생제가 미생물을 통해 만들어 지고 있다.

동양의학의 경우에도 약 4,000∼5,000여종의 동·식물을 재료로 사용하고 있다.

∇종다양성의 보고 제주도

제주도는 북방과 남방한계의 교차점에 위치해 있어 생물의 수직 분포가 뚜렷하며, 지리적으로 섬이라는 고립된 환경에 적응한 결과로 특산생물 또한 많이 분포하고 있다.

동물·곤충 3,700여종, 식물자원 2,100여종(약용식물 338종), 해양자원 2,000여 종 등 약 7,800여종 이상의 육상 및 해양 생물자원이 서식하고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미생물자원 등을 확보하고 있어서 제주도는 생물유전자원의 보고라고 할 수 있다.

제주도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약 8천여 생물자원들의 다양성은 국내에서 최고로 높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새로운 신종들이 계속해서 발견되고 있다.

실례로 제주도산 청자고동은 효능이 좋은 진통제의 재료로 개발되어 미국 FDA 승인을 얻어 제품화 되고 있다.

또 한국해양연구소 이홍금 박사는 마라도 해안에서 국내 두 번째 신'속'인 토착 해양세균을 발견했다.

이 세균은 여름철 남해안 일대에 만연하는 적조현상에 탁월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특히 제주도 해안에 서식하는 해조류 중에는 제주분홍풀(Dasysiphonia chejuensis I.K. Lee & J.A. West)과 같이 세계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어 학계에 소개된 신종이 17종이나 된다.

이러한 제주도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이들 생물자원의 분명 미래의 소중한 산업자원으로 그 가치를 다할 것이다.  

세계는 지금 생물유전자원의 다양성 확보, 이용, 지역정보체계 및 데이터베이스구축 등 생물자원 보존, 활용 연구에 국가 역량을 집중하고있다.

2002년 유네스코에서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선정할 만큼 다양한 생물종이 서식하는 제주도는 생물종의 다양성을 연구하기에는 최적의 장소이다.

21세기 도전 과제인 제주도 자생생물자원의 보존과 유용자원의 활용을 위한 종합적인 관리체계 구축은 제주의 미래 건설을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하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