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큰 생각, 더 큰 제주, 제주의 발전의 새지평을 연다] 5. 자치교육

경쟁보다 '협력'의 교육문화 실현 목표
고교체제 개편·혁신학교 등 현안 산적
도·도의회·교육가족 등과 소통 우선
 
10년간의 양성언 교육감 시대가 저물고 진보 성향의 이석문 제15대 제주도교육감 체제로 본격 돌입했다.
 
교육부의 정책방향과 크게 다른 길을 걷지 않았던 전대(前代)에 비해 상당부분 개혁을 공언한 만큼 앞으로 교육부나 기존 조직, 학부모 등 교육가족들과 협의해야 할 사안이 산적해 있다.
 
먼저 이 교육감이 가장 비중있게 추진하고 있는 고교체제 개편은 선택학교 진학비중 65% 달성 외에는 아직 구체성이 부족, 올해말로 예정된 (가칭)'제주고교체제개편 도민위원회' 구성을 서두를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도민과 학부모들에게 개선 방향을 알리고 소통하며 풀어가야한다는 지적이다. 
 
특히 제주시내 일반고 정원 및 평준화지역 조정은 도-농간 이해가 첨예하게 갈리는 문제로 성급하게 접근할 경우 갈등으로 비화될 가능성이 크다.
 
제주에서는 처음 도입되는 '제주형 혁신학교'에 대한 도민들의 기대도 크다. 
 
교육감이 밝혔듯 학부모들이 막연히 큰 학교를 선택하는 대신 '작은 학교에 가야 공부도 잘하고 행복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심어주는 게 큰 흐름이다. 국제학교처럼 토론식 수업이나 자유로운 교육과정을 운영함에 있어 작은 학교의 강점이 있는 만큼 이를 잘 살려 학부모들의 높은 기대치를 만족시켜야 하는 숙제를 안고 있다.
 
최근 현안으로 떠오른 특색사업·학교평가 폐지 등 교원 업무 경감을 위한 정책들도 제주도의회와의 소통을 통해 부작용과 반대의 목소리를 경청하며 교사 뿐만 아니라 행정직과 학생, 학부모 등 교육가족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대안 마련이 절실하다.
 
원희룡 지사의 당선으로 그간 소원했던 도정과의 관계에서도 변화의 기운이 감지되고 있다.
 
이 교육감이 '교육복지특별도'를 주창한 상황에서 대규모 예산투입이 불가피하지만 교육청의 살림규모로는 역부족, 도정과의 협력이 필수적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두 젊은 지도자들이 함께 '우리 아이들'을 위한 정책이라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보조를 맞춰나가야 한다.
 
경쟁과 서열 대신'협력과 배려', '교실 중심'의 교육문화'를 만들기 위한 관료중심주의 타파와 탈권위 등 교육감의 구조개혁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제주교육 전반의 협력과 역량강화가 필요하다는 주문이다. 김봉철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