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년에 다시 규명되는 4·3의 진실

4·3 당시 가장 인명피해(538명)가 많았던 제주읍 노형리가 1950년대 재건된 모습.

무차별 집단학살 마을별 사례 희생자 명단확보 노력
미신고 희생자 찾고 행불수형인 2000여명 피해 확인 
4·3지휘체계 및 미정부 책임 규명 등 위한 조사 절실

제주4·3평화재단은 2003년 발간된 정부의 진상조사보고서가 4·3의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위한 총론적 성격이었다면, 이번 16년만에 발간한 추가진상조사보고서의 경우 각론적 성격이라고 설명했다. 즉, 구체적 피해실태 파악을 통해 4·3의 진상규명을 심화하고자 하는 의미를 담는데 주력했다. 제주4·3의 진실과 규명에 한걸음 더 다가섰지만 앞으로 해야 할 과제도 산적하다.

△토벌대 무장대 집단학살 모두 조사

제주4·3평화재단은 추가진상보고서를 작성하면서 지금까지 밝혀진 도민과 마을피해 사례를 더욱 구체화하고, 피해자 명단을 확보하는데 주력했다. 

50명 이상의 집단학살은 제주읍(현 제주시 동지역)에서 '도두리 동박곶홈 사건' 183명, '봉개리·용강리 대토벌 사건' 151명', '도평리 함정토벌 사건' 78명, '외도지서 서쪽밭 사건' 71명, '도령모루 사건' 69명, '도두리 궤동산 사건' 65명 등 모두 6건이 발생했다.

또 조천면(현 조천읍)에서 제주4·3 중 단일학살로 최대피해자를 낸 '북촌국민학교 사건 299명을 비롯해 '함덕백사장 및 서우봉 일대 사건' 281명, '박성내 사건' 143명(행방불명자 포함), '조천지서 앞 밭 사건' 126명 등 4건이다.

한림면(현 한림읍)은 '신생이서들 사건' 72명, '붉은굴 사건' 58명, '고산 천주교회 인근 밭 사건' 56명 등 3건이다.

표선면에서는 '표선백사장 사건' 234명, '버들못 사건' 92명 등 2건이다.

서귀면(현 서귀포시 동지역 일부)의 '정방폭포 일대 사건' 235명, 성산면(현 성산읍)의 경우 '터진목 사건' 213명, 남원면(현 서귀포시 남원읍)의 '남원리·위미리·태흥리 무장대 습격사건' 89명, 애월면(현 애월읍)의 '자운당 사건' 77명 등 4건이다.

대정면(현 대정읍)의 '모슬봉 탄약고터 사건' 78명, 구좌면(현 구좌읍)에서 '연두망 사건' 74명 (1건), 중문면(현 중문동)의 '신사터 사건' 71명(1건) 등도 확인됐다.

4·3평화재단은 표선면의 '성읍리 무장대 습격사건'(희생자 49명) ,구좌읍의 '세화리 무장대 습격사건'(희생자 48명), 남원읍의 '의귀국민학교 동쪽 밭(개턴물) 사건'(희생자 38명) 및 '남원리·위미리·태흥리 무장대 습격에 대한 보복학살 사건'(희생자 31명) 등 4건에 대해 피해자가 50명 미만이지만 동일 장소에서 반복적으로 학살이 이뤄져 집단학살 범주에 포함했다.

△2차, 3차 추가진상조사로 진실 규명해야

집단학살의 실체 확인 등 여러 성과를 냈으며, 이중 추가진상조사를 통해 확인한 미신고 4·3희생자 1200여명을 찾아낸 것도 큰 성과다. 4255명의 수형인 행방불명 희생자 중 2261명의 피해 실태도 규명했다. 

하지만 앞으로 2차와 3차 이상의 추가조사를 통해 제주4·3의 진실을 규명해야 할 과제도 제시됐다.

1950년 한국전쟁 직후 발생된 예비검속 피해 조사에서 희생자 566명의 신원을 확인했지만 이중 53명의 행적이 확인했을 뿐 513명의 신원과 행적은 여전히 알 수 없다. 

행불 희생자 유해발굴 조사의 경우 2006년부터 2018년까지 405구의 유해를 발굴했다. 하지만 지난해 12월 현재 133구의 신원이 확인했을 뿐 유전자 검사 등을 통해 272구의 신원을 밝혀야 한다.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제주국제공항에서 유해발굴이 진행돼 387구를 수습했다. 하지만 제주공항에 묻혀 있을 것이라 예상되던 제주 북부 예비검속 희생자 유해가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현재 발굴하지 못한 활주로 밑이나 인근에 묻혀 있을 개연성이 있어 제주공항 추가 발굴도 과제다. 

특히 제주4·3 학살 책임에 있어 미군정과 주한미군사고문단도 자유로울 수 없기에 지속적인 미국현지 조사 등을 실시해 미국정부의 잘못을 규명해야 한다.

중부권과 영남권 형무소에서의 4·3관련 행방불명인과 수형피해자 등을 다루지 못해 향후 추가조사가 시급하고, 재외동포와 종교계의 피해조사도 필요하다.

제주4·3에 대한 역사적 평가와 진압작전에 대한 지휘체계 규명도 다루지 못해 향후 과제로 남게 됐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